自遣자견 / 스스로 시름을 달래다 / 羅隱나은
得即高歌失即休[득즉고가실즉휴] 득의하면 노래하고 실의하면 쉬면서 多愁多恨亦悠悠[다수다한역유유] 근심 많고 한 많아도 느긋하게 살리라 今朝有酒今朝醉[금조유주금조취] 오늘 아침 술 있으면 오늘 아침 취하고…
得即高歌失即休[득즉고가실즉휴] 득의하면 노래하고 실의하면 쉬면서 多愁多恨亦悠悠[다수다한역유유] 근심 많고 한 많아도 느긋하게 살리라 今朝有酒今朝醉[금조유주금조취] 오늘 아침 술 있으면 오늘 아침 취하고…
당여[黨與], 당여기립 우익기성[黨與旣立 羽翼旣成], 당여순[唐汝詢], 당여시야[當如是也], 당여하재[當如何哉], 당연[瞠然], 당연[唐宴], 당연[儻然], 당연지[倘然止], 당연지고[當然之故], 당연지사[當然之事], 당열용[當列墉], 당영[棠營]
당양[當陽] 남쪽을 대한다는 말로, 천자(天子)가 남면(南面)을 하여 천하를 다스림을 말함. 천자가 남쪽을 바라보고 앉아 천하를 다스리므로 당양(當陽)이라 한다. 좌전(左傳) 문공(文公)…
당아민호 원아혼호[當我緡乎 遠我昏乎], 당아용독금절석우패기여수[幢牙茸纛金節析羽旆旗旟旞], 당악[唐樂], 당안[棠案], 당앙[唐鞅]
당식[堂食] 당식(堂食)이란 옛날에 매양 조회(朝會)를 파하고 나서 재상과 백관이 도당(都堂)에 모여 진수성찬(珍羞盛饌)으로 회식(會食)하던 것을 말한다. 송(宋)나라 소옹(邵雍)이 “시골 사람이 어찌…
당시고취[唐詩鼓吹] 금(金)나라 원호문(元好問)이 편찬한 서명이다. 당인(唐人)의 칠언율시 96가(家)에 596수(首)를 모아서 편찬하였다. 당시승상[當時丞相] 지금 정승 벼슬을 지낸다 함이니, 한창 권세가 당당하고…
당숙[唐叔] 진(晉)나라 개국시조 당숙우(唐叔虞)이다. 당(唐)에 봉해졌기 때문에 그렇게 부른다. 희성(姬姓)이고 이름이 우(虞)이다. 주 무왕(周武王)의 셋째 아들이자 주 성왕(周成王)의 아우이다. 주…
당수[棠樹] 당수(棠樹)는 감당나무로 혜정(惠政)을 상징한다. 혜정(惠政)은 은혜(恩惠)로써 베푸는 정치(政治)를 이른다. 당수[堂脩] 당실(堂屋)의 남북 간의 길이를 이른다. 당수[塘水] 연못물. 물을 가두어…
당소종지사[唐昭宗之事] , 당송총서[唐宋叢書], 당송팔가[唐宋八家], 당송팔대가[唐宋八大家], 당송팔자[唐宋八子], 당송팔자백선[唐宋八子百選]
당석분음[當惜分陰], 당선작탄[螳蟬鵲彈], 당선종[唐宣宗], 당성[唐誠], 당성[唐城], 당성[當城], 당성배[堂姓輩], 당성인[唐城引], 당세[當世]
당상지인[堂上之人], 당상지작 부중지어[堂上之雀 釜中之魚], 당상집례[堂上執禮], 당상촉[堂上燭], 당생결의[唐生決疑], 당서[唐書], 당서[唐鼠]
당상빙반[堂上氷盤], 당상수서[黨庠遂序], 당상오로[堂上五老], 당상자분발왈[當常自奮發曰], 당상접무 당하포무[堂上接武 堂下布武], 당상접무[堂上接武], 당상지도[堂上指圖], 당상지병[堂上之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