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랑지부[螳螂之斧]~당랑지포영[螳螂之抱影]~당랑포선[螳螂捕蟬]~당랑포선[螳螂捕蟬]
당랑지부[螳螂之斧] 자기(自己) 힘을 생각지 않고 강적(强敵) 앞에서 분수(分數)없이 날뜀. 당랑(螳螂)은 버마재비, 혹은 사마귀라고 하는 곤충이다. 부(斧)는 도끼로, 버마재비의 칼날처럼 넓적한…
당랑지부[螳螂之斧] 자기(自己) 힘을 생각지 않고 강적(强敵) 앞에서 분수(分數)없이 날뜀. 당랑(螳螂)은 버마재비, 혹은 사마귀라고 하는 곤충이다. 부(斧)는 도끼로, 버마재비의 칼날처럼 넓적한…
당랑규선[螳螂窺蟬] 남을 헤치려다가 자기가 해를 입는다. 사마귀가 매리를 잡으려고 노리고 있다. 그 사마귀는 뒤에서 참새가 노리고 있는 것을 모르고 있다.…
당두[當頭], 당두[堂頭], 당두봉갈[當頭棒喝], 당랑[螳螂], 당랑가경와가식[螳螂可敬蛙可式], 당랑거철[螳蜋車轍], 당랑거철[螳螂拒轍]
당도고[當塗高] 길을 당하여 높고 크다는 뜻으로 위궐(魏闕)을 가리킨다. 위궐(魏闕)은 고대(古代) 궁문(宮門) 밖 양쪽에 높이 솟은 눈관(樓觀)인데 이 누관 아래에는 항상…
당대발복[當代發福], 당덕종[唐德宗], 당도[當途], 당도[當道], 당도[撞擣], 당도[唐都]
당당[幢幢], 당당[撞撞], 당당[唐唐], 당당[瞠瞠], 당당[儻儻], 당당[堂堂], 당당[璫璫], 당당거[堂堂去], 당당자장[堂堂子張], 당당책책[堂堂策策]
당금무배[當今無輩], 당금지지[當禁之地], 당기[堂基], 당기진양[唐起晉陽], 당내지친[堂內至親], 당년[當年], 당단불단 반수기란[當斷不斷 反受其亂], 당단적풍[唐丹狄風]
당국자[當局者], 당국자미[當局者迷], 당권[當權], 당귀[撞歸], 당귀[當歸], 당귀법[撞歸法], 당귀사역탕[當歸四逆湯]
당과혼식[糖菓婚式], 당관호표[當關虎豹], 당광[黨光], 당괘[當卦], 당구[堂舅], 당구[堂構], 당구삼년폐풍월[堂狗三年吠風月], 당구위저법지방[堂構爲底法之方], 당구지락[堂構之樂], 당구풍월[堂狗風月]
당고지화[黨錮之禍] 당쟁(黨爭)에 연루되어 화를 당한 것을 말한다. 동한(東漢) 환제(東漢) 때에 환관(宦官)이 정권을 주도하자, 사대부였던 이응(李膺), 진번(陳蕃) 등이 태학생 곽태(郭泰), 가표(賈彪)…
당고조[唐高祖] 당(唐)나라를 세운 이연(李淵)을 이른다. 수나라가 3차례의 고구려 원정에서 대패하여 혼란에 빠지자 수의 귀족이었던 이연은 여러 지방 세력과 결탁한 후…
당고수인[堂高數仞] 맹자(孟子) 진심 하(盡心下)에 “몇 길이나 되는 높은 당(堂)과 몇 자나 되는 큰 서까래가 있는 집을 나는 뜻을 얻더라도 하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