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lose

극기복례[克己復禮]~극기봉공[克己奉公]~극기최난[克己最難]


극기[剋期]  만날 기한을 정함을 이른다.

극기[克己]  극기복례(克己復禮)의 준말로서 자기의 감정이나 욕심, 충동 따위를 이성적 의지로 극복하고 천리(天理)를 회복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論語 顔淵>

극기[克己]  본래 사욕(私慾), 곧 공적이지 못한 개인에 국한된 사사로운 욕구나 욕심을 이겨내는 것이다. 안연(顔淵)이 극기복례(克己復禮)를 통하여 인(仁)을 이루는 조목을 물었을 때, 공자가 “예가 아니면 보지 말며, 예가 아니면 듣지 말며, 예가 아니면 말하지 말며, 예가 아니면 움직이지 말라.[非禮勿視, 非禮勿聽, 非禮勿言, 非禮勿動.]”라고 답하였다. <論語 顔淵>

극기공부[克己工夫]  자기 사욕(私欲)을 이성(理性)으로 억누르는 공부. 여기서 己(기)는 극복의 대상이 되는 개인의 사욕(私慾), 곧 이기적 욕망을 뜻한다.

극기복례[克己復禮]  논어(論語) 안연(顔淵)에 “안연이 인(仁)을 묻자, 공자(孔子)께서 ‘자기의 사욕을 이겨 예(禮)로 돌아감이 인을 하는 것이니, 하루라도 사욕을 이겨 예로 돌아가면 천하가 인을 허여한다. 인을 하는 것은 자신에게 달려 있으니, 남에게 달려 있겠는가.’라고 대답하셨다. 안연이 ‘그 조목을 묻습니다.’라고 말하자, 공자께서 ‘예가 아니면 보지 말며, 예가 아니면 듣지 말며, 예가 아니면 말하지 말며, 예가 아니면 동하지 말아야 한다.’라고 대답하셨다. 이에 안연은 말하였다. ‘제가 비록 불민하나 청컨대 이 말씀을 종사하겠습니다.’[顔淵問仁. 子曰:克己復禮爲仁, 一日克己復禮, 天下歸仁焉. 爲仁由己, 而由人乎哉? 顔淵曰:請問其目. 子曰:非禮勿視, 非禮勿聽, 非禮勿言, 非禮勿動. 顔淵曰:回雖不敏, 請事斯語矣.]”라고 보인다.

극기복례[克己復禮]  논어(論語) 안연(顔淵)에 “안연(顔淵)이 인(仁)을 묻자, 공자가 ‘자기의 사욕(私慾)을 이겨 예(禮)에 돌아감이 인(仁)을 하는 것이니, 하루 동안이라도 사욕(私慾)을 이겨 예에 돌아가면 천하(天下)가 인(仁)을 허여하는 것이다. 인(仁)을 하는 것은 자기 몸에 달려 있으니, 남에게 달려 있는 것이겠는가.’ 하였다. 안연(顔淵)이 ‘그 조목을 묻겠습니다.’ 하자, 공자가 ‘예가 아니면 보지 말며, 예가 아니면 듣지 말며, 예가 아니면 말하지 말며, 예가 아니면 동(動)하지 마는 것이다.’ 하였다.[顔淵問仁 子曰 克己復禮爲仁 一日克己復禮 天下歸仁焉 爲仁由己 而由人乎哉 顔淵曰 請問其目 子曰 非禮勿視 非禮勿聽 非禮勿言 非禮勿動]”라고 한 데에서 보인다.

극기복례[克己復禮]  안연이 공자에게 인(仁)에 대해서 묻자, 공자가 “극기복례하는 것이 바로 인이다. 하루라도 극기복례를 할 수 있게 되면, 온 천하 사람들이 그 인에 귀의할 것이다.[克己復禮爲仁 一日克己復禮 天下歸仁焉]”라고 대답하면서, 구체적인 조목으로 비례물시(非禮勿視), 비례물청(非禮勿聽), 비례물언(非禮勿言), 비례물동(非禮勿動)의 사물(四勿)을 제시한 대목이 논어(論語) 안연(顔淵)에 나온다.

극기복례위인[克己復禮爲仁]  안연(顔淵)이 인(仁)에 대해 묻자 공자가 대답한 말로 ‘자기의 사욕을 극복하여 예(禮)로 돌아가는 것이 인을 실천하는 것이다.’라는 뜻이다. 주희의 주(注)에 “마음의 온전한 덕은 모두가 천리이나, 또한 인욕에 의해 파괴되지 않을 수 없다. 그러므로 인을 하는 자가 반드시 사욕을 이겨 예에 돌아가면 일마다 모두 천리여서 본심(本心)의 덕이 다시 내 몸에 온전하게 된다.”라고 하였다. <論語 顔淵>

극기봉공[克己奉公]  사욕을 이기고 公(국가)을 위해 봉직함. 자신의 욕망을 엄격하게 제어하고 한마음 한 뜻으로 사업에 몰두한다는 뜻으로 극기와 봉공이 합해져 이루어진 성구(成句)다. <論語>

극기최난[克己最難]  이정유서(二程遺書) 11권 123조에 “극기가 가장 어렵다. 중용(中庸)에 ‘천하와 국가를 균평하게 다스릴 수 있으며, 작록을 사양할 수 있으며, 흰 칼날을 밟을 수 있으되, 중용은 능히 할 수 없다.’고 하였다.[克己最難 中庸曰 天下國家可均也 爵祿可辭也 白刃可蹈也 中庸不可能也]”라고 실려 있다. 주자(朱子)의 제자가 이 말의 의미를 물었다. 그러자 주자가 중용의 의미를 파악하기 어려운 것이 아니라 현실에서 실천하기가 어려운 것이라고 대답해 주면서 정자(程子)의 이 말을 인용하여 맺었다. <中庸或問 26條>

Leave a Reply

Your email address will not be published. Required fields are marked *

Copyright (c) 2015 by 하늘구경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