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lose

극락정토[極樂淨土]~극란[棘欒]~극란수시[棘鸞垂翅]~극리[棘籬]


극락[極樂]  불교에서 아미타불(阿彌陀佛), 곧 무량수여래(無量壽如來)가 머무르고 있다는 세계를 가리킨다. 극락세계(極樂世界)의 준말이다. 전하여 지극히 안락하여서 아무 걱정이 없는 경우와 처지, 또는 그런 장소를 이른다.

극락사[極樂寺]  정주(定州)와 박천(博川) 사이의 봉린산(鳳麟山)에 있는 사찰이다.

극락왕생[極樂往生]  불교용어로 죽어서 극락정토(極樂淨土)에 가서 다시 태어난다는 말이다.

극락정토[極樂淨土]  아미타불(阿彌陀佛)의 정토(淨土). 변이(變異), 성쇠(盛衰), 싸움이 없으며, 지옥(地獄), 아귀(餓鬼), 축생(畜生)도 없고, 불한불열(不寒不熱), 이르는 곳마다 보배와 연꽃이 피어 있다고 한다. 온갖 번뇌와 속박으로부터 벗어난 지극히 즐겁고 깨끗한 세상으로 불교에서 말하는 이상세계이다.

극란[棘欒]  부모상을 당한 것을 가리키는 말이다. 시경(詩經) 소관(素冠)에 “행여 흰 관을 쓴 극인의 수척함을 볼 수 있을까. 노심하기를 근심하고 애태우노라.[庶見素冠兮, 棘人欒欒兮, 勞心慱慱兮.]”라는 말에서 유래하였다. 주자는 집전(集傳)에서 “극은 급함이다. 상사(喪事)는 총총(總總)히 하고자 하니, 슬프고 급한 모양이다. 난난(欒欒)은 수척한 모양이다.”라고 주하였다.

극란[棘欒]  상사(喪事)를 당한 사람의 수척한 모습. 부모의 상을 당한 것을 가리키는 말이다. 시경(詩經) 회풍(檜風) 소관(素冠)에 “행여 흰 관을 쓴 상인(喪人)의 수척함을 볼 수 있을까, 내 마음에 애태우며 근심하노라.[庶見素冠兮 棘人欒欒兮 勞心慱慱]”라고 보인다.

극란수시[棘鸞垂翅]  가시나무에 난새가 날개를 드리움. 큰 인재가 역량에 걸맞지 않는 직책을 맡은 것을 의미한다. 후한(後漢)의 왕환(王奐)이 “탱자와 가시나무는 난새나 봉황이 깃들 곳이 아니니, 백 리쯤 되는 작은 고을이 어찌 큰 현인이 있을 고을이겠는가.[枳棘非鸞鳳所棲, 百里豈大賢之路.]”라고 하였다. <後漢書 卷106 仇覽傳>

극래신복[亟來臣服]  빨리 와서 복종하라고 위협하는 말이다. <通鑑節要>

극렬[極熱]  음력 6월의 극심한 더위를 이른다.

극로[劇路]  업무가 복잡한 도에 속한 고을을 말한다.

극리[棘籬]  가시 울타리. 위리안치(圍籬安置)되어 있는 처지를 말한다. 위리(圍籬)는 죄인의 배소(配所)에 가시로 울타리를 치는 것이다.

극림[棘林]  가시나무 숲으로, 예기(禮記)에 대사구(大司寇)가 극목(棘木) 밑에서 옥사(獄事)를 청단(聽斷)하였으므로 극림(棘林)에는 밤에 우는 귀신이 많다 하였다.

Leave a Reply

Your email address will not be published. Required fields are marked *

Copyright (c) 2015 by 하늘구경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