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lose

금화객[金華客]~금화령[禁火令]~금화벌초[禁火伐草]


금화강[金華講]  한 성제(漢成帝) 때에 정관중(鄭寬中)과 장우(張禹)가 금화전에서 조석으로 임금을 모시고 상서(尙書)・논어(論語)를 강설했던 데서 온 말이다.

금화객[金華客]  황초평(黃初平)을 가리킨다. 황초평은 단계(丹溪) 사람으로, 나이 열다섯에 양을 치다가 도사(道士)를 따라 금화산(金華山) 석실(石室)로 가서 수도(修道)하였는데, 그 후 40년 만에 그의 형 황초기(黃初起)가 수소문 끝에 그를 찾아가 만났더니 양은 보이지 않고 흰 돌들만 있었다. 황초평이 “양들은 일어나라.”라고 소리치자, 흰 돌들이 모두 수만 마리의 양으로 변했다 한다. <神仙傳 黃初平>

금화령[禁火令]  옛 풍속에 한식절(寒食節)에 불 지피는 일을 금하던 명령을 말한다. 형초세시기(荊楚歲時記)에 “동지로부터 105일이 지나서 거센 비바람이 몰아치는 때를 한식이라 하여 삼일 동안 불을 금한다.[去冬節一百五日卽有疾風甚雨 謂之寒食 禁火三日]”라고 하였다.

금화모[金華帽]  금으로 만든 꽃으로 장식한 모자이다. 이백(李白)의 고구려(高句麗) 시에 “금화로 장식한 절풍모 썼는데, 흰말이 조금 멈칫거리며 빙빙 도네.[金花折風帽 白馬小遲回]”라고 하였다.

금화벌초[禁火伐草]  무덤에 불을 조심하고 때맞추어 풀을 베고 하여 무덤을 잘 보살을 이른다.

금화보첩[金花寶帖]  금화는 꽃문양이 들어간 금색 비단이며, 보첩은 일종의 춘첩(春帖)이다. 즉 금화보첩은 화려한 비단이나 종이에 쓴 춘첩을 말한다.

금화산[金華山]  신선의 석실(石室)이 있다고 전해지는 산 이름이다. 한(漢)나라 때의 신선 황초평(黃初平)은 단계(丹溪) 사람으로 15세에 양을 치다가 신선술을 닦으러 도사를 따라 금화산(金華山) 석실(石室) 속에서 수도하였다. 그 후 40년 만에 그의 형 황초기(黃初起)가 수소문 끝에 그를 찾아가 만났더니 양은 보이지 않고 흰 돌들만 있었다. 황초평이 “양들은 일어나라.”라고 소리치자, 흰 돌들이 모두 수만 마리의 양으로 변했다고 한다. <神仙傳 黃初平>

금화산[金華山]  지금의 서대문구 일대에 있는 안산(鞍山)의 지맥이다.

금화성[金華省]  금화성은 한(漢) 나라 미앙궁(未央宮)의 궁전 이름으로, 일찍이 성제(成帝) 때에 장우(張禹) 등이 이곳에서 상서(尙書)와 논어(論語) 등을 진강(進講)한 고사가 전한다. <漢書 卷100上 敍傳上>

금화신[禁火辰]  불 금하는 날. 한식일(寒食日)을 말한다. 육홰(陸翽)의 업중기(鄴中記)에 “병주(幷州) 풍속은 개자추(介子推)가 불에 타 죽었으므로 그를 애도하는 뜻에서 3일 동안 불 때기를 금한다.”라고 하였다.

Leave a Reply

Copyright (c) 2015 by 하늘구경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