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lose

기경상천[騎鯨上天]~기경유권수[機警有權數]~기경정사[起景情思]


기경비상천[騎鯨飛上天]  고래를 타고 하늘로 올라갔다는 것은 죽음을 형용한 것이다. 전설에 의하면 이백(李白)이 채석기(采石磯)라는 곳에서 뱃놀이를 하다가 술에 취해 물속의 달을 잡으려고 뛰어 들었다가 익사했다 한다. 매성유(梅聖兪)의 시 채석월증곽공보(采石月贈郭功甫)에 이백의 죽음을 두고 “응당 굶주린 교룡의 입에 떨어지지 않고 고래를 타고 푸른 하늘로 올라갔으리.[不應暴落飢蛟涎 便當騎鯨上靑天]”라고 하였으며, 송(宋)나라 때 문인 마존(馬存)의 시 연사정(燕思亭)에 “이백이 고래를 타고 하늘에 오르고 나니, 강남의 풍월이 한가해진 지 오래로다.[李白騎鯨飛上天 江南風月閑多年]”라고 하였다. <古文眞寶前集 卷5>

기경상천[騎鯨上天]  시인의 죽음을 형용한 것이다. 이백(李白)이 일찍이 술에 취해 채석강(采石江)에서 뱃놀이를 하다가 물속에 비친 달을 건지려고 뛰어들었다가 고래를 타고 하늘로 올라갔다는 전설이 있는데, 여기에서 온 말이다. 송나라 매요신(梅堯臣: 매성유梅聖兪)의 시 채석월증곽공보(采石月贈郭功甫)에 “채석강 달빛 아래 적선을 찾으니, 한밤중 비단 도포로 낚싯배에 앉아 있네. 취중에 강 밑에 매달린 달 사랑하여, 손으로 달을 희롱하다 몸이 뒤집혔다오. 굶주린 교룡 입에 떨어지진 않았을 터, 응당 고래 타고 하늘로 올라갔으리라.[采石月下訪謫仙, 夜披錦袍坐釣船. 醉中愛月江底懸, 以手弄月身翻然. 不應暴落飢蛟涎, 便當騎鯨上靑天.]”라고 하였다. <古文眞寶 前集 卷5 采石月贈郭功甫> 또 송(宋) 나라의 문인 마존(馬存)의 시 연사정(燕思亭)에 “이백이 고래 타고 하늘로 날아가니, 강남의 풍월이 오래도록 한산하다. 높은 정자와 좋은 술이 있다하여도, 누가 술 한 말에 시 백편을 지을까…[李白騎鯨飛上天 江南風月閑多年 縱有高亭與美酒 何人一斗詩百篇…]”라고 하였다. 그것은 풍월을 두고 시 지을 사람이 없으니 풍월이 한가로웠다는 뜻이다.

기경어[騎鯨魚]  경어(鯨魚)는 고래의 속칭이며, 기경어(騎鯨魚)는 은둔 혹은 선계를 노니는 것[游仙]을 비유적으로 가리킨다. 전설에 이백(李白)이 고래를 타고 승천(昇天)하였다 하여 죽음을 뜻하는 말로도 쓰인다. 이백이 고래 등에 올라타서 바다를 가르는 장면을 그린 이백기경도(李白騎鯨圖)라는 것도 있다.

기경용결[機警勇決]  사람됨이 기민하고 과감하게 결단함을 이른다.

기경유권수[機警有權數]  기경(機警)은 기민(機敏)하여 눈치가 빨라서 상황 변화에 민첩하게 대처함을 이르고 권수(權數)는 권모술수를 이른다. 통감절요(通鑑節要) 후한기(後漢紀)에 “조조(曹操)는 어려서부터 기민하고 민첩하고(약삭빠르고) 권모술수가 있었으며, 임협(任俠)하고 방탕(호탕)하였다.[操少機警有權數, 而任俠放蕩.]”라고 한 데서 보인다. 임협(任俠)은 의기(義氣)를 중히 여겨 약한 자를 도와주는 것이며, 방탕은 의기가 호방(豪放)하여 소소한 예절에 구애하지 않음을 이른다.

기경자[騎鯨子]  이백(李白)이 일찍이 채석강(采石江)에서 취중(醉中)에 뱃놀이하다가 달을 잡으려고 물에 뛰어들어 고래를 타고 하늘로 올라갔다는 전설에서, 전하여 이백의 별칭으로 쓰인다. 송(宋)나라 때 문인(文人) 마존(馬存)의 연사정(燕思亭) 시에 “이백이 고래를 타고 하늘에 오르고 나니, 강남의 풍월이 한가해진 지 오래이로다.[李白騎鯨飛上天 江南風月閑多年]”라고 하였다. <宋藝圃集 卷13>

기경정사[起景情思]  한시(漢詩)에 있어서 네 절(節)의 이름이다. 모두(冒頭)를 ‘기(起)’, 그 모두의 뜻을 대받아 문을 아름답게 표현(表現)하는 것을 ‘경(景)’, 셋째로 사색으로 들어가는 것을 ‘정(情)’, 전편(全篇)을 거두어서 끝을 맺는 것을 ‘사(思)’라 한다.

기경천상객[騎鯨天上客]  이백(李白)을 말한다. 매성유(梅聖兪)의 시 채석강증곽공보(采石江贈郭公甫)에 이백의 죽음을 두고 “응당 굶주린 교룡의 입에 떨어지지 않고 고래를 타고 푸른 하늘로 올라갔으리.[不應暴落飢蛟涎 便當騎鯨上靑天]”라고 하였다.

Leave a Reply

Copyright (c) 2015 by 하늘구경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