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lose

기사기심[機事機心]~기사득사[祈死得死]~기사주[記事珠]


기사굴산[耆闍崛山]  중인도(中印度) 마갈다국(摩羯陀國)의 수도인 왕사성(王舍城) 동북쪽에 있는 산으로, 영취산(靈鷲山) 혹은 영산(靈山)으로 의역되는데, 불타가 설법한 장소로 유명하다.

기사기심[機事機心]  장자(莊子) 천지(天地)에 “자공(子貢)이 초(楚)나라를 유람하고 진(晉)나라로 가면서 한수(漢水)의 남쪽을 지나다가 한 노인을 만났는데, 그 노인은 밭이랑에 물을 주기 위해서 우물을 깊이 파놓고 물동이를 안고 우물물을 퍼내오곤 하였다. 이 광경을 본 자공이 그 노인에게 용두레를 사용하면 힘을 덜 들이고도 많은 물을 퍼낼 수 있다고 일러 주자, 그 노인이 처음에는 성을 벌컥 냈다가 이내 웃으면서 말하기를 ‘내가 우리 스승에게서 들어 보니, 기계란 것이 있으면 반드시 꾀를 부리는 일이 있게 되고, 꾀를 부리는 일이 있으면 반드시 꾀를 내는 마음이 생긴다고 하였다.[吾聞之吾師 有機械者必有機事 有機事者必有機心]’라고 하였다.”는 고사에서 온 말이다.

기사득사[祈死得死]  춘추 시대 진(晉) 나라 대부(大夫) 범문자(范文子)가 일찍이 임금이 무도하고 나라가 어지러워짐을 보고는 난리가 날 것을 예측하고 종축(宗祝)에게 이르기를 “우리 임금은 교만해 스스로 잘난 체하는데 적국(敵國)에 승리(勝利)하였으니, 이는 하늘이 임금의 죄과(罪過)를 가중시킨 것이다. 장차 화란(禍難)이 일어날 것이니, 나를 사랑한다면 나를 빨리 죽도록 저주(詛呪)해 화(禍)에 미치지 않게 하는 것이 우리 범씨(范氏)의 복(福)이다.[君驕侈而克敵, 是天益其疾也, 難將作矣. 愛我者唯祝我, 使我速死, 無及於難, 范氏之福也.]”라고 하였는데, 과연 그 후 얼마 안 되어 그는 죽었고, 그가 죽은 뒤에 과연 난리가 났었다는 데서 온 말이다. <國語 晉語><春秋左氏 魯成公>

기사불밀즉해성[機事不密則害成]  주역(周易) 계사전(繫辭傳) 상에 “임금이 비밀을 지키지 않으면 신하를 잃게 되고, 신하가 비밀을 지키지 않으면 몸을 잃게 되며, 기밀 사항이 새어 나가면 해를 당하게 된다.[君不密則失臣 臣不密則失身 機事不密則害成]”라고 하였다.

기사연[耆社宴]  기로연(耆老宴)과 같은 말로, 나이가 높은 임금이나 70세가 넘은 문관(文官)으로 정2품 이상인 사람을 선정하여 잔치를 베풀어주던 의식이다.

기사자[祁射子]  기사자(祁射子)는 사람 이름인데, 행적은 미상이다. 여씨춘추(呂氏春秋) 거유(去宥)와 회남자(淮南子) 수무훈(修務訓)에는 모두 ‘사자(謝子)’로 되어 있고 ‘기(祁)’자가 없는데, 묵가학파(墨家學派)의 인물이라 한다.

기사재속 금기시의[機事在速 今其時矣]  기밀의 일은 신속함에 달려 있으니, 지금이 바로 기회라는 뜻이다.

기사주[記事珠]  개원천보유사(開元天寶遺事)에 “장열(張說)이 재상이 되자 어떤 사람이 구슬 하나를 선사해 왔다. 보랏빛에 광채가 있었고 이름을 ‘기사주’라 하여, 혹 잊은 일이 있을 때 손에 들고 만지작거리면 심신(心神)이 문득 명랑해지면서 기억이 죄다 떠오르므로, 장열이 비장해 두고 보물로 삼았다.[開元中張説爲宰相, 有人惠説一珠, 紺色有光, 名曰記事珠. 或有闕忘之事, 則以手持弄此珠, 便覺心神開悟, 事無巨細, 渙然明曉, 一無所忘. 説秘而至寶也.]”라고 하였다.

기사지경[幾死之境]  거의 죽게 된 지경.

기사회생[起死回生]  사경(死境)에서 헤어나 되살아남. 곧, 중병(重病)으로 죽을 뻔하다가 도로 회복(回復)되어 살아남을 말한다.

Leave a Reply

Copyright (c) 2015 by 하늘구경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