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lose

길보문무[吉甫文武]~길보백기[吉甫伯奇]~길복[吉服]~길분[吉翂]


길보[吉甫]  길보는 구규(丘葵)의 자이다. 구규는 중국 송(宋)나라 동안(同安) 사람으로, 송나라가 망하자 섬 속으로 피해 은거하고 호를 조기(釣磯)라고 하였다. 풍도(風度)는 단정하여 마치 나는 해오라기나 서 있는 학과 같고, 주자의 학문에 뜻을 두어 남이 알아주는 것을 구하지 않았다.

길보[吉甫]  윤길보(尹吉甫)인데, 주 선왕(周宣王) 때의 어진 신하이다. 성은 혜(兮)이고 이름은 갑(甲)인데, 혜백길보(兮伯吉父)라고도 한다. 보(甫)는 본래 보(父) 자로 되어 있고 윤(尹)은 벼슬 이름이다. 주 선왕의 중흥 시기에 군대를 거느리고 험윤(玁狁)을 정벌하여 태원(太原)에 이르렀다. 전하는 이야기에 의하면 윤길보가 시경(詩經)의 숭고(崧高)・증민(蒸民)・한혁(韓奕)・강한(江漢) 등과 같은 편을 지어 주 선왕을 찬미하였다고 한다.

길보[吉甫]  길보는 주(周)나라 선왕(宣王) 때의 문무를 겸비한 명장 윤길보(尹吉甫)이다. 원융은 시경(詩經) 소아(小雅) 유월(六月) 주자(朱子)의 주(註)에 “성왕(成王)과 강왕(康王)이 이미 별세하자 주(周)나라 왕실이 점점 쇠미하였다. 팔세(八世)를 지나 여왕(厲王)이 포학한 정사를 펴자 주나라 사람들이 그를 축출하여 체(彘) 지방에 거주하게 하니, 이에 험윤(玁狁)이 침략하여 경읍(京邑)에 이르렀다. 여왕이 죽고 아들 선왕(宣王)이 즉위하여 윤길보(尹吉甫)에게 명하여 군대를 거느리고 가서 토벌하게 하였다.”고 하였다. 그 시에 “큰 병력인 열 대의 전차로 먼저 출정한다.[元戎十乘 以先啓行]”라고 하였다.

길보[吉甫]  주(周)나라 선왕(宣王) 때 북벌을 담당한 태사(太師) 윤길보(尹吉甫)를 가리킨다. 문무겸전(文武兼全)한 인물로 알려져 있다. 윤길보는 호경(鎬京)에 침입한 험윤(玁狁)을 격퇴하는 등 소목공(召穆公) 등과 함께 선왕을 보좌하여 쇠락한 주나라를 중흥시키는 데 지대한 공헌을 하였다. 험윤을 정벌한 공을 찬미한 내용이 시경(詩經) 소아(小雅) 유월(六月)에 “잠깐 험윤을 쳐서, 태원에 이르렀으니, 문무를 겸비한 길보여, 만방이 법으로 삼도다.[薄伐玁狁 至于大原 文武吉甫 萬邦爲憲]”라고 나온다.

길보가송주선[吉甫歌誦周宣]  윤길보(尹吉甫)는 주(周)나라 선왕(宣王) 때의 명신이다. 윤길보(尹吉甫)가 선왕(宣王)을 찬미한 시(詩)에 “임금에게 결함이 있으면 중산보가 보좌하도다.[袞職有闕 維仲山甫補之]”라고 하였는바, 시경(詩經) 대아(大雅) 숭고(崧高)에 보인다.

길보문무[吉甫文武]  길보는 윤길보(尹吉甫)인데, 주 선왕(周宣王) 때의 중신이다. 성은 혜(兮)이고 이름은 갑(甲)인데, 혜백길보(兮伯吉父)라고도 한다. 보(甫)는 본래 보(父) 자로 되어 있고 윤(尹)은 벼슬 이름이다. 주 선왕의 중흥 시기에 군대를 거느리고 험윤(玁狁)을 정벌하여 태원(太原)에 이르렀다. 문무겸전(文武兼全)한 인물로 알려져 있다. 시경(詩經) 소아(小雅) 유월(六月)에 “잠깐 험윤을 쳐서, 태원에 이르렀으니, 문무를 겸비한 길보여, 만방이 법으로 삼도다.[薄伐玁狁 至于大原 文武吉甫 萬邦爲憲]”라고 하였다.

길보백기[吉甫伯奇]  금조(琴操) 이상조(履霜操)에 “윤길보(尹吉甫)는 아들이 백기(伯奇)였다. 그 어미가 일찍 죽자 다시 후처를 들였는데, 이에 후처는 길보(吉甫)에게 백기(伯奇)를 헐뜯어 말하기를 ‘백기(伯奇)가 저의 아름다움을 보더니 사심을 품고 있습니다.’라고 하였다. 길보(吉甫)가 ‘백기(伯奇)의 자애로운 마음에 어찌 그럴 리가 있겠소?’라 하자, 후처는 ‘저를 빈 방에 두고 당신은 다락에 올라가보시구려.’라 하였다. 그리고는 벌을 잡아다가 옷깃에 넣고서 백기(伯奇)를 불러 꺼내달라고 하였다. 백기가 손을 넣어 벌을 잡으려 하자, 계모가 자신을 겁탈하려 한다고 외치니 길보(吉甫)가 크게 노하여 백기(伯奇)를 들판으로 내쫓았다. 주 선왕(周宣王)이 유람을 나갈 때 길보(吉甫)가 수행을 하였는데, 백기(伯奇)가 노래를 지어 불러 그들의 마음을 움직였다. 선왕(宣王)이 말하기를 ‘이는 쫓겨난 자식의 노래로다.’라고 하였다. 길보(吉甫)가 자신의 잘못을 깨닫고는 그의 아내를 활로 쏘아 죽였다.”라 하였다. 조식(曹植)의 영금악조론(令禽惡鳥論)에서는 “옛날에 윤길보(尹吉甫)는 후처가 헐뜯는 말을 듣고서 효자인 백기(伯奇)를 죽였는데, 그 아우 백봉(伯封)이 구하려고 하였지만 구하지 못했다.”라 하였고, 태평어람(太平御覽) 469에 인용된 한시(韓詩)에서는 “서리(黍離)는 백봉(伯封)이 지었다.”라고 하였다.

길보비해[吉甫匪懈]  길보(吉甫)는 증민시(蒸民詩)의 작자 윤길보(尹吉甫)를 말하며, 비해(匪懈)의 송이란 증민시 전체 8장 중에 제4장의 내용으로 “밤낮으로 게을리하지 않아서 오직 한 분이신 천자를 섬긴다.[夙夜匪懈 以事一人]”를 뜻한다.

길보사극[吉甫史克]  모시서(毛詩序)에 “대아(大雅) 중의 숭고(嵩高), 증민(蒸民), 한혁(韓奕) 등은 모두 길보(吉甫)가 선왕(宣王)을 찬미한 시이고, 경(駉)은 희공(僖公)을 기린 것이다. 희공(僖公)이 백금(伯禽)의 법을 잘 지키는 것에 대해 노(魯)나라 사람들이 존경하자, 계손행보(季孫行父)가 주(周)나라에 명을 청하여 사극(史克)이 이 송가(頌歌)를 지었다.”라고 하였다.

길복[吉服]  일반적으로 예복(禮服)을 지칭한다. 후한서(後漢書) 안제기(安帝紀)에 “황태후(皇太后)가 숭덕전(崇德殿)에 나오니, 백관이 모두 길복(吉服)을 입었다.”라고 하였다.

길분[吉翂]  양(梁) 나라 사람으로, 아버지가 무고[誣告)를 당하여 사형을 받게 되었는데 아버지 대신 죽기를 자원하여 신문고를 쳐서 사실을 밝히고 무고한 자를 처벌하게 한 효자이다.

Leave a Reply

Copyright (c) 2015 by 하늘구경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