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lose

낭박서리[浪泊西里]~낭발기호[狼跋其胡]~낭봉[囊封]


낭박[浪泊]  낭박은 지금의 월남(越南) 하노이의 강하(江河)와 소력강(蘇瀝江) 사이에 있는 지명이다. 후한(後漢) 광무제(光武帝) 때 복파장군(伏波將軍) 마원(馬援)이 남방의 교지(交趾)를 성공적으로 정벌하여 신식후(新息侯)에 봉해진 다음에 “내가 낭박과 서리(西里) 사이에 주둔하고 있을 적에 온 천지에 독기(毒氣)가 치솟아 오르는 바람에 하늘을 날던 솔개도 물 위로 툭툭 떨어지곤 하였다.[當吾在浪泊西里閒 虜未滅之時 下潦上霧 毒氣重蒸 仰視飛鳶跕跕墮水中]”고 술회한 고사가 있다. <後漢書 卷24 馬援列傳>

낭박서리지념[浪泊西里之念]  먼 변방에서 어렵고 힘든 군무(軍務)에 종사했던 추억을 말한다. 후한(後漢) 광무제(光武帝) 때 복파장군(伏波將軍) 마원(馬援)이 남방의 교지(交趾)를 성공적으로 정벌하여 신식후(新息侯)에 봉해진 다음에 “내가 낭박과 서리 사이에 주둔하고 있을 적에 온 천지에 독기(毒氣)가 치솟아 오르는 바람에 하늘을 날던 솔개도 물 위로 툭툭 떨어지곤 하였다.[當吾在浪泊西里閒 虜未滅之時 下潦上霧 毒氣重蒸 仰視飛鳶跕跕墮水中]”고 술회한 고사가 전한다. <後漢書 卷24 馬援列傳>

낭발[狼跋]  낭발은 시경(詩經) 빈풍(豳風)의 편명이다. 그 시에 “이리가 앞으로 가다간 제 턱살을 밟고, 뒷걸음치다간 제 꼬리 밟아 넘어지네. 공이 큰 아름다움 사양하시니, 그 붉은 신이 편안도 하시어라.[狼跋其胡 載疐其尾 公孫碩膚 赤舃几几]”라고 한 데서 온 말인데, 주공(周公)이 관숙(管叔), 채숙(蔡叔)으로부터는 유언비어를 듣고, 또 성왕(成王)에게 의심까지 받아서 마치 이리처럼 진퇴양난의 어려운 처지를 당하였으나, 조금도 동요함이 없이 잘 대처하여 상도(常道)를 잃지 않았으므로, 시인(詩人)이 주공의 이런 모습을 보고 존경하는 마음에서 이 시를 지어 노래한 것이다.

낭발[狼跋]  낭발은 주공(周公)이 섭정(攝政)할 때에 유언비어가 돌았으나 주공이 성덕(聖德)을 잃지 않았음을 당시 대부들이 찬미한 노래이다. 시경(詩經) 낭발(狼跋)에 “공이 큰 아름다움을 공손히 사양하시니, 덕스러운 음성에 하자가 없도다.[公孫碩膚 德音不瑕]”리거 하였다. 공은 주공이다. 주공이 왕위를 찬탈하려 한다는 유언비어를 관숙(管叔)과 채숙(蔡叔)이 퍼트렸으나, 주공은 떳떳이 성덕(聖德)을 잃지 않아 공경과 법도를 다하였으므로 당시 대부들이 이와 같이 찬미하였다.

낭발기호[狼跋其胡]  이리는 해가 묵으면 턱 밑에 늘어진 살이 붙는데, 앞으로 가려다가 그 혹을 밟으면 걸려 넘어진다 한다. 시경(詩經) 빈풍(豳風) 낭발(狼跋)에 “이리가 앞으로 가려 하면 제 턱의 살이 밟히고, 뒤로 가려 하면 제 꼬리가 밟히네.[狼跋其胡 載疐其尾]”라고 하였는데,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하는 곤란한 처지를 괴로워한다는 말이다.

낭발기호재치기미[狼跋其胡載疐其尾]  앞으로 가도 넘어지고 뒤로 가도 넘어짐, 곧 진퇴양난(進退兩難)을 이른다. 발(跋)은 엽(躐: 밟을 엽), 호(胡)는 턱 밑에 늘어진 살, 재(載)는 즉(卽), 치(疐)는 겁(跲: 넘어질 겁)으로, 늙은 이리는 앞으로 갈 때에는 호(胡)를 밟고 물러갈 때에는 꼬리를 밟아 넘어진다는 말이다.

낭발기호지상[狼跋其胡之相]  이리가 그 턱 밑에 고깃덩이를 밟는 상. 사람이 턱 밑이 늘어진 것을 이른다. 발(跋)은 밟는 것, 호(胡)는 턱 밑에 달린 고깃덩이인데, 늙은 이리의 턱 밑에 고깃덩이가 달려 있어서 앞으로 나아가려면 그것이 밟히고 물러가려면 꼬리에 걸려서 가도 오도 못한다는 데서 온 말이니, 성공하지 못하고 곤경에 허덕일 상이라는 것이다.

낭봉[囊封]  낭봉은 누설될까 염려하여 주머니에 넣어서 봉함해 올린 상소라는 뜻으로, 봉사(封事)와 같은 말이다.

낭비[娘臂]  청주(淸州)의 고호이다.

Leave a Reply

Your email address will not be published. Required fields are marked *

Copyright (c) 2015 by 하늘구경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