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lose

노소[老蘇]~노소[魯小]~노소부정[老少不定]~노소이량[老少異糧]


노소[老蘇]  노소(老蘇)는 북송(北宋)의 문장가인 소순(蘇洵)으로 자는 명윤(明允), 호는 노천(老泉). 미주(眉州) 미산(眉山) 사람이다. 아들인 소식(蘇軾)・소철(蘇轍)과 함께 삼소(三蘇)로 칭해졌고, 소식 형제는 이소(二蘇)라 칭해졌다. 소순(蘇洵)은 노소(老蘇), 소식(蘇軾)은 대소(大蘇), 소철(蘇轍)은 소소(小蘇)로 불렸다. 정치(政治)와 역사(歷史), 경서(經書) 등에 대한 평론이 많고 단시간 내에 수천 자의 글을 짓는 대문장가로 명성이 높아 두 아들과 함께 당송팔대가(唐宋八大家)로 칭송되었다. 소순은 변간론(辨姦論)을 지어 왕안석(王安石)을 혹독하게 비판하였다.

노소[老蕭]  양 무제(梁武帝) 소연(蕭衍)을 가리키는데, 그는 평생에 특히 불교(佛敎)를 독신 수행(篤信修行)하였고, 달마(達磨)가 처음 중국에 들어왔을 적에는 그에게 묻기를 “어떤 것이 성제(聖諦)의 제일의(第一義)입니까?”라고 하니, 달마가 대답하기를 “확연하여 성이 없습니다.[廓然無聖]”라고 하였다. 달마가 입적(入寂)한 뒤에는 비(碑)를 세워서 달마의 공덕(功德)을 찬양하기도 했었다.

노소[魯小]  맹자(孟子) 진심 상(盡心上)에 “공자께서 동산에 올라서는 노나라를 작다고 여기시고 태산에 올라서는 천하를 작다고 여기셨다.[孔子登東山而小魯, 登太山而小天下.]”라고 하였다.

노소공[魯昭公]  노 소공(魯昭公)은 춘추시대 노(魯)나라 군주로, 이름은 주(裯), 또는 조(稠)로도 쓴다. 양공(襄公)의 아들이다. 19세에 즉위하여 어린아이처럼 절제 없이 장난하다가 삼환(三桓)에게 내몰리어 제(齊)나라로 달아났다가, 뒤에 진(晉)나라와 제(齊)나라를 오가다가 진나라 건후(乾侯)에서 죽었다. <春秋左氏傳 昭公 25년>

노소년[老少年]  노소년은 안래홍초(雁來紅草)의 별칭이다.

노소동락[老少同樂]  노인과 젊은이가 나이에 관계없이 함께 즐긴다는 말이다.

노소부정[老少不定]  죽음에는 노소(老少)의 선후(先後)가 없음. 노인(老人)도 소년(少年)도 언제 죽을지 모른다는 뜻으로, 사람의 목숨은 덧없어 정명(定命)을 알 수 없으므로 죽음에는 노소(老少)가 따로 없음을 이른다. 제행무상(諸行無常)이라는 말 가운데 하나이다.

노소이량[老少異糧]  늙은이와 젊은이의 식사(食事)가 다름. 천자문(千字文)에 “친척과 오랜 친구는 늙고 젊음에 따라 음식을 달리한다.[親戚故舊 老少異糧]”고 하였다. 그 주해(註解)에 “늙은이는 비단옷이 아니면 따뜻하지 않고 고기가 아니면 배부르지 않으며, 젊은이도 마땅히 음식을 절제하고 아껴 양육함을 신중히 해야 하니, 예(禮)에 이른바 ‘15세 이상은 늙은이와 젊은이가 음식을 달리한다.’는 것이 이것이다.[老者 非帛不煖 非肉不飽 少者亦宜節其飮食 愼其愛養 禮所謂十五以上老少異食]”라고 하였다.

Leave a Reply

Your email address will not be published. Required fields are marked *

Copyright (c) 2015 by 하늘구경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