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lose

노정쇄송풍[露頂灑松風]~노제[老薺]~노제[老除]~노제십가[駑蹄十駕]


노정쇄송풍[露頂灑松風]  이백(李白) 시의 “두건 벗어 석벽에 걸어 뒀더니 맨머리에 솔바람 상쾌하여라.[脫巾挂石壁 露頂灑松風]”라는 구절을 말한다. <李太白集 卷22 夏日山中>

노정지역전왈 정백이벽가허전[魯鄭之易田曰 鄭伯以璧假許田]  노(魯)나라와 정(鄭)나라가 밭을 교환할 적에 “정백(鄭伯)이 벽옥(璧玉)을 가지고 허전(許田)을 빌렸다.”라고 하였다[魯鄭之易田曰 鄭伯以璧假許田]. <蘇軾 春秋論> 정백(鄭伯)은 정 장공(鄭莊公)을 이른다. 노 환공(魯桓公) 원년에 환공(桓公)이 장공(莊公)과 수(垂) 땅에서 회합하고 정(鄭)나라의 팽전(祊田)과 노(魯)나라의 허전(許田)을 교환하면서 벽옥(璧玉)을 더 얹어주었는데, 이는 은공(隱公) 8년(B.C. 715)에 정(鄭)나라가 노(魯)나라의 시조(始祖)인 주공(周公)을 제사 지낸다는 명분으로 이미 약속했던 일이었다. 그러나 춘추(春秋)에 ‘정백이벽가허전(鄭伯以璧假許田)’이라고 기록하여 허전(許田)을 팽전(祊田)과 바꾼 것이 아니고 벽옥(璧玉)을 주고 정(鄭)나라에게 허전(許田)을 임차한 것처럼 말하였는데, 이는 허전(許田)이 팽전(祊田)보다 커서 노(魯)나라가 손해를 보는 부당함과 노(魯)나라가 정(鄭)나라로 하여금 주공(周公)을 제사 지내도록 허락한 부당함을 휘(諱)하기 위해서였다. 그러므로 소식(蘇軾)은 노여워하는 말이라고 표현한 것이다. <春秋左氏傳 桓公 원년>

노정진공[魯鄭震恐]  노(魯)나라와 정(鄭)나라가 두려움에 떨게 함. 노 희공(魯僖公) 30년(B.C, 630)에 정(鄭)나라가 진(晉)나라에는 무례하고 초(楚)나라와 친근하다는 이유로, 진 문공(晉 文公)과 진 목공(秦穆公)의 연합군이 정(鄭)나라를 공격하여 도성을 포위함으로써 정(鄭)나라를 두려움에 떨게 하였다. 노(魯)나라가 진(晉)나라를 두려워한 구체적인 사실은 알 수 없다. <春秋左氏傳 僖公 30년>

노제[老薺]  구황 식물인 황새냉이이다.

노제[老除]  노령자(老齡者)에 대해서 요역(徭役) 등을 면제해 주는 것을 말한다. 군정(軍丁)・공천(公賤)을 막론하고 또 실역(實役)에 종사하는 자이거나 신포(身布)・보포(保布) 등을 내는 자를 막론하고 일정한 노년(老年)에 이르면 신역(身役)을 면제하는 것을 뜻한다.

노제[老除]  늙은 군사나 노비를 병역(兵役)이나 신역(身役)에서 면제함. 남자 나이 60세가 되면 늙었다 해서 국역(國役)에서 면제시키는 일이다.

노제십가[駑蹄十駕]  순자(荀子) 권학(勸學)의 “준마라도 한 번 뛰어 열 걸음 갈 수 없고, 무딘 말이라도 열흘 동안 달려가면 준마를 따라잡을 수 있는 것이니, 그 공은 멈추지 않는 데에 있다.[騏驥一躍, 不能十步. 駑馬十駕, 則亦及之, 功在不舍.]”라고 한데서 나온 말이다.

노제십가[駑蹄十駕]  순자(荀子) 수신(修身)에 “천리마가 하루에 천 리를 달리지만, 노둔한 말도 열흘을 달리면 역시 그 거리를 따라잡을 수 있다.[夫驥一日而千里 駑馬十駕, 則亦及之矣.]”라고 한 말에서 인용하였다.

노제유지덕업[魯諸儒之德業]  노(魯)나라는 옛날 공자(孔子)가 생장(生長)한 지역으로 학자(學者)가 많았으며, 덕업(德業)은 덕(德)과 사업(事業)을 이른다. 한(漢)나라 초기 숙손통(叔孫通)은 노(魯) 지방의 여러 학자(學者)들을 초치하여 한나라의 의례(儀禮)를 초안하였으므로 이렇게 말한 것이다.

Leave a Reply

Your email address will not be published. Required fields are marked *

Copyright (c) 2015 by 하늘구경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