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lose

농색[弄色]~농서[農書]~농서[隴西]~농서앵무[隴西鸚鵡]~농서원[隴西園]


농색[弄色]  고운 빛을 드러내다. 소식(蘇軾)의 시 숙망호루재화(宿望湖樓再和)에 “아름다운 여인처럼 생긴 초승달, 비로소 바다 위로 고운 빛을 드러내네.[新月如佳人 出海初弄色]”라고 하였다. 새 순이 돋아나는 것.

농서[農書]  원(元)나라 왕정(王楨)이 지었다. 총 22권인데, 농상통결(農桑通訣) 6권, 곡보(穀譜) 4권, 농기도보(農器圖譜) 12권이다. 농사에 관한 말이 상세하게 서술되었다. 왕정(王楨)의 자는 백선(伯善), 벼슬은 풍성현 윤(豊城縣尹)을 지냈다. <四庫全書總目提要 子部 農家類>

농서[隴西]  농서(隴西)는 중국 감숙성(甘肅省) 임조부(臨洮府)와 공창부(鞏昌府)의 서쪽에 걸쳐 있었던 진한 시대의 군(郡) 이름이다. 당(唐) 나라 이백(李白)이 여한형주서(與韓荊州書)에서 자신을 ‘농서(隴西)의 포의(布衣)’라고 말한 데에서 농서가 이씨(李氏)의 대명사로 쓰이게 되었다.

농서[隴西]  농서는 한 나라 장군 이광(李廣)의 고향으로, 이곳은 예로부터 명장이 많이 나오는 고장이므로 일컫는 말이다.

농서[隴西]  한(漢) 나라 때 흉노(匈奴)가 출몰했던 농산(隴山) 이서(以西)의 지역 이름으로, 농우(隴右) 혹은 농음(隴陰)이라고도 하는데, 보통 북쪽 변방을 가리킬 때 쓰는 표현이다.

농서공자증미진[隴西公子曾迷津]  이백(李白)이 하늘나라에서 유배당한 적선(謫仙)의 처지로 세파(世波)에 부대끼며 살았던 것을 의미하는데, 신당서(新唐書) 권202에는 이백이 황노(黃老)를 좋아하여 청산(靑山)에 들어가서 생을 마감하려다가 결국에는 뜻을 이루지 못하고 죽은 기사가 기재되어 있기도 하다. 한편 이백은 흥성 황제(興聖皇帝)의 9세 손으로서 당 고조(唐高祖) 이연(李淵)과 같은 농서(隴西) 성기(成紀) 사람인데, 그가 지은 여한형주서(與韓荊州書)에도 이 내용이 소개되어 있다.

농서대장군[隴西大將軍]  한(漢)나라 때 흉노를 쳐서 큰 공을 세웠던 대장군 이광(李廣)을 말한다. 그가 농서(隴西) 성기(成紀) 출신이기 때문에 농서대장군이라고 한 것이다. 이광이 벼슬에서 물러나 집에서 지낼 때는 아무도 대장군임을 알지 못했다고 한다. <史記 卷109 李將軍列傳>

농서안후[隴西顏厚]  이릉(李陵)은 농서군(隴西郡) 성기현(成紀縣) 사람이다. 이릉이 흉노에 항복하였다는 소식을 들은 한나라 조정에서는 이릉의 모친과 처자를 몰살하였다. 이후로 이씨 집안의 명성은 쇠락하였고, 이씨 집안의 문객으로 있었던 농서의 사대부들은 모두 이 일을 수치로 여겼다고 한다. <史記 卷109 李將軍列傳>

농서앵무[隴西鸚鵡]  금경(禽經)에 의하면 “앵무새는 농서 지방에서 나오는데, 능히 말을 하는 새이다.[鸚鵡出隴西 能言鳥也]”라고 하였다.

농서원[隴西園]  이씨(李氏)의 본고장이란 뜻으로, 맨 처음 농서(隴西) 성기(成紀) 사람인 이연(李淵)이 당(唐) 나라를 세우고 천하의 이씨(李氏)는 모두 농서(隴西)에서 나왔다고 하면서 노담(老聃)을 시조(始祖)로 삼은 데서 유래한 것이다. <舊唐書 卷一 高祖本紀>

농서유풍[隴西遺風]  ‘농서의 유풍’은 한(漢)나라 명장인 이릉(李陵) 집안을 가리킨다. 이릉은 농서(隴西) 성기(成紀) 사람으로, 비장군(飛將軍)으로 불린 한나라의 명장 이광(李廣)의 손자이다.

Leave a Reply

Your email address will not be published. Required fields are marked *

Copyright (c) 2015 by 하늘구경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