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lose

누항단표[陋巷簞瓢]~누항빈[陋巷貧]~누항지사[陋巷之士]


누항[陋巷]  누추한 골목이라는 뜻으로, 가난을 상징하기도 한다. 공자의 제자 안연(顔淵)의 자는 자연(子淵), 이름은 회(回)이다. 안연이 한 그릇의 밥[一簞食]과 한 그릇의 마실 것[一瓢飮]으로 누항에 지내며 도를 즐거워한 것을 두고, 공자가 “어질다. 안회여! 한 그릇의 밥과 한 표주박의 마실 것으로 누추한 거리에 있는 것을 남들은 그 근심을 견뎌내지 못하는데 안회는 그 즐거움을 변하지 않으니, 어질구나 안회여![賢哉回也! 一簞食一瓢飮在陋巷, 人不堪其憂, 回也不改其樂, 賢哉回也!]”라고 하였다. <論語 雍也>

누항단표[陋巷簞瓢]  누항(陋巷)에서 사는 사람의 한 그릇의 밥과 한 바가지의 물이라는 뜻으로, 아주 가난한 사람의 생활(生活) 형편(形便)을 이르는 말이다. 논어(論語) 옹야(雍也)에 공자(孔子)께서 말씀하셨다. ‘어질다, 안회(顔回)여! 한 대그릇의 밥과 한 표주박의 음료로 누추한 시골에 있는 것을 딴 사람들은 그 근심을 견뎌내지 못하는데, 안회는 그 즐거움을 변치 않으니, 어질다, 안회여!’[子曰: 賢哉回也! 一簞食, 一瓢飮, 在陋巷, 人不堪其憂, 回也不改其樂, 賢哉回也!]”라고 하였다.

누항단표도부빈[陋巷簞瓢道不貧]  안빈낙도(安貧樂道)의 생활을 말한다. 논어(論語) 옹야(雍也)에 “훌륭하다, 안회(顔回)여. 일단사(一簞食)와 일표음(一瓢飮)으로 누항(陋巷)에 살면서도 그 낙(樂)을 변치 않으니.”라는 말이 있다.

누항단표락[陋巷簞瓢樂]  청빈한 생활의 도(道)를 즐기는 것을 말한다. 공자의 제자 안연(顔淵)이 가난하게 살면서도 스스로 도를 즐겼다는 데서 나온 말이다. 공자(孔子)가 제자 안연(顔淵)의 안빈낙도(安貧樂道)를 칭찬하기를 “어질도다, 안회(顔回)여! 한 대그릇의 밥과 한 표주박의 물을 먹으며 누추한 골목에서 생활하는 것을, 다른 사람들은 근심하며 견디지 못하는데, 안회는 그 즐거움을 고치지 않으니, 어질도다, 안회여![賢哉回也 一簞食一瓢飮在陋巷 人不堪其憂 回也不改其樂 賢哉回也]”라고 한 것에서 나왔다. <論語 雍也>

누항빈[陋巷貧]  가난한 시골살이를 말한다. 논어(論語) 옹야(雍也)에 “한 대광주리의 밥과 한 표주박의 물을 먹으며 궁벽한 시골에서 사는 것을 다른 사람들은 견디지 못하는데 안회(顔回)는 그 즐거움을 고치지 않았다.[一簞食 一瓢飮 在陋巷 人不堪其憂 回也不改其樂]”라고 하였다.

누항유진락[陋巷有眞樂]  공자의 높은 제자 안회(顔回)가 밥 한 대그릇과 한 표주박의 물로 누추한 마을[陋巷 자기가 사는 동네 겸칭]에 살아도 그 즐거움은 그치지 않았다.

누항좌여우[陋巷坐如愚]  공자가 말하기를 “내가 안회(顔回)로 더불어 종일토록 말을 했으나 안회가 질문을 하지 않는 것이 마치 어리석은 것 같았다.”라 한 데서 온 말이다. <論語 爲政>

누항지사[陋巷之士]  논어(論語) 옹야(雍也)에 공자가 “어질구나 안회여, 한 대그릇의 밥과 한 표주박의 물을 먹으며 누추한 골목에서 사는 것을 다른 사람들은 견디지 못하는데, 안회는 그 즐거움을 한결같이 변치 않으니 어질구나 안회여.[賢哉回也 一簞食一瓢飮 在陋巷 人不堪其憂 回也不改其樂 賢哉回也]”라고 한 데서 온 말이다.

Leave a Reply

Copyright (c) 2015 by 하늘구경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