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lose

능운[凌雲]~능운건필[凌雲健筆]


능운[凌雲]  조선 후기의 기생. 생몰에 대해서는 알려진 게 없다.

능운[凌雲]  구름 위로 높이 솟아올라 하늘을 찌를 듯한 기세. 곧장 구름으로 올라간다는 것으로, 뜻이 숭고하거나 의기가 높음을 형용한다. 일반적으로 시문에 뛰어난 자질을 갖춘 것을 말한다.

능운[凌雲]  구름 위로 치솟는다는 뜻으로, 지취(志趣)가 고상하고 의기(意氣)가 드높은 것을 형용한다. 사기(史記) 권117 사마상여열전(司馬相如列傳)에 “사마상여가 대인지송을 지어 천자에게 아뢰자, 천자가 크게 기뻐하여 ‘표표히 구름 위에 치솟는 기상이 있고 천지 사이에서 노니는 듯한 의취가 있다’.[相如旣奏大人之頌, 天子大說, 飄飄有凌雲之氣, 似游天地之閒意.]”라고 한 데서 온 말이다.

능운[凌雲]  시문(詩文)에 뛰어난 것을 표현한 것으로, 한나라의 사부가(辭賦家) 사마상여(司馬相如)가 한 무제(武帝)가 신선(神仙)을 좋아한다는 것을 알고는 신선의 일을 서술한 대인부(大人賦)를 지어서 무제(武帝)에게 바치니 무제가 크게 기뻐하여 “표표(飄飄)하여 구름 위로 솟아오르는 듯한[凌雲] 기상이 있다.[飄飄有凌雲之氣, 似游天地之閒意.]”고 하였던 데서 나왔다. 이로 인하여 대인부(大人賦)를 능운부(凌雲賦)라 부르기도 한다. <史記 卷117 司馬相如列傳>

능운건필[凌雲健筆]  구름을 뚫고 솟을 만큼 웅건한 필력. 한(漢)나라 때 사마상여(司馬相如)가 신선의 일을 서술하여 대인부(大人賦)를 완성하여 바치자 무제가 매우 기뻐하여 “표표(飄飄)히 구름을 찌르는 기상이 있고, 천지 사이에서 노니는 듯한 의취가 있다.[飄飄有凌雲之氣, 似游天地之閒意.]”고 하여 능운부(凌雲賦)라 부르게 되었다. 그래서 사마상여의 문장을 능운건필(凌雲健筆)이라 하였고 이 말이 뛰어난 문장을 뜻하는 말로 쓰였다. <史記 卷117 司馬相如列傳>

능운건필[凌雲健筆]  능운은 구름 위에 치솟는다는 뜻으로, 의기(意氣)가 초일(超逸)함을 의미한다. 사기(史記) 권117 사마상여열전(司馬相如列傳)에 “사마상여가 대인지송을 지어 천자에게 아뢰자, 천자가 크게 기뻐하여 표표히 구름 위에 치솟는 의기가 있었다.[相如旣奏大人之頌 天子大說 飄飄有凌雲之氣]”라고 하였다. 그래서 사마상여의 문장을 능운건필(凌雲健筆)이라 한다.

능운건필[凌雲健筆]  두보(杜甫)의 희위육절구(戱爲六絶句) 시에 “유신의 문장은 노년에 더욱 성숙해져서, 하늘에 치솟는 굳센 필력에 의사도 자유롭네.[庾信文章老更成 凌雲健筆意縱橫]”라고 한 데서 온 말로, 하늘에 솟는다는 것은 곧 시문을 짓는 재주가 뛰어남을 의미한다. <杜少陵詩集 卷11>

Leave a Reply

Copyright (c) 2015 by 하늘구경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