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lose

단표누공[簞瓢屢空]~단표누항[簞瓢陋巷]~단표락[簞瓢樂]


단표[簞瓢]  밥을 담는 대그릇과 물을 담는 표주박이란 뜻으로, 전하여 가난한 사람이 먹는 보잘것없는 음식을 뜻한다. 논어(論語) 옹야(雍也)에 공자가 말하기를 “어질도다, 안회여. 한 소쿠리의 밥과 한 표주박의 물로 누추한 시골에서 지내자면 남들은 그 곤궁한 근심을 감당치 못하거늘, 안회는 도를 즐기는 마음을 바꾸지 않으니, 어질도다, 안회여.[賢哉回也. 一簞食一瓢飮, 在陋巷, 人不堪其憂, 回也不改其樂, 賢哉回也.]”라고 한 데서 온 말이다.

단표누공[簞瓢屢空]  단표(簞瓢)는 한 대그릇의 밥[一簞飮]과 한 표주박의 마실 것[一瓢飮]이라는 말이고, 누공(屢空)은 쌀독이 자주 빈다는 뜻이다. 모두 안빈낙도(安貧樂道)하는 삶을 가리킨다. 논어(論語) 옹야(雍也)에 “어질구나 안회여! 한 대그릇의 밥과 한 표주박의 마실 것으로 누추한 마을에 사는 고생을 다른 사람들은 그 근심을 견디지 못하거늘 안회는 그 즐거움을 고치지 않았으니, 어질구나 안회여![賢哉回也! 一簞食一瓢飮在陋巷, 人不堪其憂, 回也不改其樂, 賢哉回也!]”라고 하였고, 선진(先進)에서는 “안회는 도에 가까웠으나, 쌀독이 자주 비었다.[回也其庶乎, 屢空.]”라고 하였다. 또, 도잠(陶潛)의 오류선생전(五柳先生傳)에도 “도시락도 표주박도 자주 비었지만 태연했다.[簞瓢屢空 晏如也]”라는 표현이 보인다.

단표누항[簞瓢陋巷]  안빈낙도(安貧樂道)의 생활을 가리킨다. 단표(簞瓢)는 한 대그릇의 밥[一簞飮]과 한 표주박의 마실 것[一瓢飮]이라는 말이고, 누항(陋巷)은 누추(陋醜)하고 좁은 마을을 이른다. 논어(論語) 옹야(雍也)의 “어질구나, 안회여! 한 도시락의 밥과 한 표주박의 물로 누추한 시골구석에서 살자면 다른 사람은 그 걱정을 견디지 못하건만, 안회는 도를 즐기는 마음을 변치 않으니, 어질구나, 안회여![賢哉回也! 一簞食, 一瓢飮, 在陋巷, 人不堪其憂, 回也不改其樂, 賢哉回也!]”라는 공자의 말에서 나온 것이다.

단표락[簞瓢樂]  청빈한 생활을 가리킨다. 공자(孔子)가 안연(顔淵)의 안빈낙도(安貧樂道)를 칭찬하기를 “어질도다, 안회(顔回)여! 한 대그릇의 밥과 한 표주박의 물을 먹으며 누추한 골목에서 생활하는 것을, 다른 사람들은 근심하며 견디지 못하는데, 안회는 그 즐거움을 고치지 않으니, 어질도다, 안회여![賢哉回也 一簞食一瓢飮在陋巷 人不堪其憂 回也不改其樂 賢哉回也]”라고 한 것에서 나왔다. <論語 雍也>

Leave a Reply

Your email address will not be published. Required fields are marked *

Copyright (c) 2015 by 하늘구경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