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lose

望洞庭망동정 / 동정호를 바라보며 / 劉禹錫유우석


湖光秋月兩相和[호광추월양상화]   호수 빛 가을 달 서로 어우러져

潭面無風鏡未磨[담면무풍경미마]   바람 없는 수면 갈기 전의 거울

遙望洞庭山水色[요망동정산수색]   아득히 바라 뵈는 동정호 풍경

白銀盤裏一靑螺[백은반리일청라]   하얀 은반 위에 푸른 소라 하나

<望洞庭망동정 / 동정호(洞庭湖)를 바라보며 / 劉禹錫유우석>


  • 유우석[劉禹錫]  당(唐)나라 때의 관리이자 시인, 문학가, 철학가이다. 팽성인(彭城人)으로 자는 몽득(夢得)이고 호는 여산인(廬山人)이다. 정원(貞元) 9년(793년)에 진사가 되었다. 유종원(柳宗元), 진간(陳諫), 한엽(韓曄) 등과 교분을 맺었고, 왕숙문(王叔文)과 친분이 깊었다. 벼슬은 감찰어사(監察御史)·태자빈객(太子賓客) 등을 역임하였다. 선조가 북방에서 왔으므로 스스로 중산(中山: 하북성河北省 정주시定州市) 출신이라고 했다. 특히 시문에 뛰어나 백거이(白居易)는 그의 시서(詩叙)에 시호(詩豪)라고 찬양하였다. 태자빈객(太子賓客)을 지낸 까닭에 사람들이 유빈객(劉賓客)이라고도 불렀고, 만년에 검교예부상서, 비서감 등의 빈 직함을 가진 적도 있어서 비서유상서(秘書劉尙書)라고도 불렀다. 시와 문장에 두루 능하여 유종원(柳宗元)과는 유유(劉柳)로 병칭되고, 위응물(韋應物)·백거이(白居易)와는 삼걸(三杰)로 불렸으며, 백거이(白居易)와는 유백(劉白)으로 합칭되었다. 누실명(陋室銘)·죽지사(竹枝詞)·양류지사(楊柳枝詞)·오의항(烏衣巷) 등의 명편을 남겼다. 저작으로는 천론(天論) 3편과 유몽득문집(劉夢得文集), 유빈객집(劉賓客集)을 남겼다.
  • 동정호[洞庭湖]  중국 호남성(湖南省) 북부(北部)와 장강(長江)의 남쪽에 위치한 호수의 이름으로 둘레가 800리나 된다고 하여 팔백리동정(八百里洞庭)이라 불릴 만큼 중국 5대 담수호 중 두 번째로 큰 호수이다. 상(湘)·자(資)·원(沅)·예(澧) 등 4개의 하천이 이곳에서 합류한 뒤 악양현(岳陽縣) 성릉기(城陵磯)에서 장강(長江)으로 들어가는데, 호수 안에 작은 산들이 많이 있고 그중 군산(君山)이 가장 유명하며, 연안에 악양루(岳陽樓)·두보묘(杜甫墓) 등의 명승고적이 많다. 예로부터 시인 묵객(詩人墨客)들이 이 호수를 배경으로 하여 수많은 작품을 남길 만큼 경관이 아름답다. 태호(太湖)라고도 불리고, 악주(岳州) 남쪽에 있어서 남호(南湖)라고도 불린다. 풍광이 아름다울 뿐만 아니라 그 주변은 일찍부터 어미지향(魚米之鄕)이라는 이름을 얻을 정도로 어족과 쌀 생산량이 풍부하였다.
  • 풍광[風光]  산이나 들, 강, 바다 따위의 자연이나 지역의 모습.
  • 풍경[風景]  산이나 들, 강, 바다 따위의 자연이나 지역의 모습. 어떤 정경이나 상황. 자연의 경치를 그린 그림.
  • 경치[景致]  산이나 들, 강, 바다 따위의 자연이나 지역의 모습.
  • 담면[潭面]  호면(湖面). 호수의 수면(水面)을 이른다.
  • 청라[靑螺]  푸른색의 소라. 푸른 산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피일휴(皮日休)의 시 태호사표묘봉(太湖寺縹緲峯)에 “흡사 푸른 소라고둥을 밝은 달빛 중에 흩뿌려놓은 듯해라.[似將靑螺髻 撒在明月中]”라고 하였다.

Leave a Reply

Your email address will not be published. Required fields are marked *

Copyright (c) 2015 by 하늘구경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