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lose

담하용이[談何容易]~담학[談謔]~담학[痰虐]~담해[談諧]~담현[談玄]


담하용이[談何容易]  ‘말을 어찌 쉽게 하겠는냐’는 말로, 무슨 일이든지 입으로 말하는 것은 쉽지만, 실제로 해보면 쉽지 않으므로 쉽게 입을 여는 짓은 삼가야 한다는 뜻이다. 동방삭(東邦朔)은 전한(前漢) 중엽 사람으로 정직하며 풍자를 좋아했다. 무제(武帝)가 전국의 인재를 모집했을 때 고향의 염차(厭次)에서 수도 장안으로 나가 황제에게 글을 올렸다. 그것이 계기가 되어 상시랑(常侍郞)으로 발탁되었는데, 무제가 장안 근처에 황실 전용 사냥터 상림원(上林苑)을 만들려고 할 때, 동방삭은 국고를 비게 하고, 백성의 생활 밑천을 빼앗는 짓이라며 반대했으나 무제는 듣지 않았다. 그는 부국강병책을 건의했지만 채택되지 않자 비유선생론(非有先生論)이라는 풍자하는 글을 써서 간하였는데, 거기에는 비유선생과 오왕(吳王)이라는 두 가공의 인물이 등장한다. 비유 선생은 오왕을 섬긴 지 3년이 되지만, 조금도 정견을 발표하지 않았다. 오왕이 “뭔가 말을 해주시오”라고 요청했지만, 선생은 여전히 입을 다물고 말하지 않았다. 오왕은 다시 말하였다. “말을 해 주시오. 무슨 말이든 듣겠소.” 이에 비유 선생이 말하였다. “좋습니다. 입을 여는 것은 간단한 일입니다.” 그리고는 간언하다 죽은 충신의 이름을 나열하고는 또 말하였다. “입을 열기가 어찌 그리 쉬운 일이겠소.[談何容易]” 그리고는 계속해서 비위를 잘 맞춰 중용된 인물, 임금이 포악했기 때문에 세상을 피한 인물의 이름을 들어 충신을 멀리하고 소인을 등용한 어리석음을 말하였다. 그리고 “입을 열기가 어찌 쉬운 일겠소.”라고 하였다. 또 현자가 명군을 만나 서로 도와 가며 나라를 일으키고 융성케 한 사례도 들어 군주로서의 마음가짐을 말했다. 이 말을 들은 오왕은 감동하여 이후부터 선생의 간언을 받아 들여 정치를 개혁하고 오나라를 융성으로 이끌었다는 내용이었다. <漢書 東邦朔傳>

담학[談謔]  우스갯소리를 나누다.

담학[痰虐]  학질(瘧疾)의 한 가지로, 담이 몰려서 생기며 심하면 기절하기도 한다.

담해[談諧]  우스갯소리를 하다. 담소(談笑)를 나누다.

담현[談玄]  심오하고 현묘한 도리를 논하다. 현담(玄談).

Leave a Reply

Copyright (c) 2015 by 하늘구경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