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lose

秋興八首[其一]추흥8수1 / 가을에 이는 정회情懷 / 杜甫두보


玉露凋傷楓樹林[옥로조상풍수림]   옥 같은 이슬에 단풍 숲이 시들고

巫山巫峽氣蕭森[무산무협기소삼]   무산 무협에는 가을기색 소슬하다

江間波浪兼天湧[강간파랑겸천용]   강에 이는 물결은 하늘로 솟구치고

塞上風雲接地陰[새상풍운접지음]   요새 위 풍운은 땅에 깔려 음산하다

叢菊兩開他日淚[총국양개타일루]   두 해째 핀 국화에 지난날 눈물겹고

孤舟一繫故園心[고주일계고원심]   외로운 배에 함께 매인 고향 그리움

寒衣處處催刀尺[한의처처최도척]   추위가 집집이 겨울옷 짓기 재촉하니

白帝城高急暮砧[백제성고급모침]   백제성 높이 바쁜 저녁 다듬이질소리

<秋興八首[其一]추흥81 / 가을에 이는 정회情懷 / 杜甫두보>


  • 두보[杜甫]  성당기(盛唐期)의 시인으로 자는 자미(子美), 호는 소릉야로(少陵野老), 두릉야로(杜陵野老), 두릉포의(杜陵布衣) 등이 있다. 양양(襄陽) 지방 출신으로 과거에 응시했으나 실패하고 40대인 천보(天寶) 14년(755년)에야 비로소 벼슬길에 오르게 된다. 안녹산(安祿山)의 난 당시 장안에서 반군에게 잡혔다가 탈출, 숙종(肅宗)의 진영에 합류하여 좌습유(左拾遺)와 검교공부원외랑(檢校工部員外郞)을 지낸 적이 있어서 사람들이 그를 두습유(杜拾遺), 두공부(杜工部) 등으로 불렀고, 또 장안성 밖 소릉(少陵)의 초당(草堂)에서 지낸 적이 있기 때문에 두소릉(杜少陵), 두초당(杜草堂)으로 부르기도 했다. 그는 시선(詩仙) 이백(李白)과 함께 이두(李杜)로 불렸는데, 두목(杜牧)과 이상은(李商隱)의 합칭인 소이두(小李杜)와 구별하기 위해 대이두(大李杜)라고도 부른다. 문학을 발판 삼아 벼슬로 나아가려던 그의 꿈이 큰 성취를 이루지 못함으로써 짧은 한때를 빼고는 평생을 가난과 병으로 고생을 겪어야 했다. 중국의 서북 지역을 유랑하다가 결국 병사했다. 벼슬살이와 달리 문학, 특히 시에서 이룬 성취가 대단하였다. 남긴 시가 1500여 수에 달하며 작품집으로 두공부집(杜工部集)이 있다. 후세 사람들에게 그 자신은 시성(詩聖)으로, 또 그의 시는 시사(詩史)라는 영예로운 칭호를 얻었다.
  • 정회[情懷]  가슴에 사무쳐 오는 정과 회포. 생각하는 정과 회포(懷抱).
  • 옥로[玉露]  옥 같은 이슬. 맑고 깨끗한 이슬.
  • 조상[凋傷]  시들어 상함.
  • 쇠잔[衰殘]  뜻 힘이나 세력 따위가 차차 줄어서 매우 약해짐.
  • 무산[巫山]  기주(冀州: 사천성四川省 봉절현奉節縣) 동쪽에 있는 산이다. 사천(四川)과 호북(湖北) 두 성(省)의 접경에 있다. 북쪽으로는 대파산(大巴山)으로 이어지는데 그 모습이 ‘巫’자의 형상을 닮아 붙여진 이름이다. 장강(長江)이 무산을 돌아 흐르며 삼협(三峽)을 형성하는데, 무산은 무협(巫峽)과 구당협(瞿塘峽) 사이에 있다. 열두 개의 봉우리 가운데 조운봉(朝雲峰)에서 장강(長江)을 내려다보는 구름 낀 경관이 특히 아름답다고 알려져 있다. 육유(陸游)의 시 삼협가(三峽歌)에 “무산십이봉 가운데 아홉 봉우리 보았는데, 뱃머리에 푸르른 가을하늘 가득하네.[十二巫山見九峰 船頭彩翠滿秋空]”라고 하였고, 이백(李白)의 시 고풍(古風)에 “장강을 따라가다 무산에서 내린 뒤에, 양대에 올라 옛사람 자취를 찾아보았네.[我行巫山渚 尋古登陽臺]”라고 하였다.
  • 무협[巫峽]  장강(長江) 삼협(三峽) 중 하나로 무산(巫山) 아래에 있는 협곡이다. 사천성(四川省) 무산현(巫山縣) 대계(大溪)에서 시작하여 호북성(湖北省) 파동현(巴東縣) 관도구(官渡口)까지 백리가 조금 넘는 구간을 가리킨다. 무산(巫山) 있어서 붙여진 이름인데 양쪽 기슭이 절벽으로 되어 있고 배가 다니기에 대단히 위험한 곳으로 알려져 있다. 대협(大峽)이라고 한다. 참고로, 장강삼협(長江三峽)은 구당협(瞿塘峽), 무협(巫峽), 서릉협(西陵峽)이다.
  • 소삼[蕭森]  가을 바람이 불어서 마음이 쓸쓸하고 을씨년스러움. 나뭇가지가 엉성함 나무에 가지가 없고 엉성함. 소슬음삼(蕭瑟陰森).
  • 새상[塞上]  변경(邊境) 지방. 변방(邊方) 지역.
  • 풍운[風雲]  바람과 구름을 아울러 이르는 말. 사회적, 정치적으로 세상이 크게 변하려는 기운이나 그로 인해 매우 어지러운 형세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영웅이 세상에 나와 큰 뜻을 품고 힘을 발휘하는 기회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도척[刀尺]  가위와 자. 포목을 마르고 잰다는 뜻으로, 의복의 재봉을 이르는 말. 지방 관아에 속하여 음식 만드는 일을 맡아보던 하인.
  • 재봉[裁縫]  옷감 따위를 말라서 바느질하는 일. 옷감 따위로 옷을 짓거나 꿰매는 일.
  • 한의[寒衣]  겨울옷. 방한복. 추위를 막지 못할 만큼 얇고 올이 성긴 옷. 종이로 만든 수의(壽衣). 옛날 음력 10월 1일 조상의 묘에서 태우는 종이로 만든 옷. 도잠(陶潛)의 시 의고(擬古)에 “봄누에 벌써부터 먹일 것이 없으니, 겨울옷을 누구에게 기대야 할까.[春蠶旣無食 寒衣欲誰待]”라고 하였고, 원호문(元好問)의 시 망귀음(望歸吟)에 “찬바람에 모래와 눈 함께 날리고, 얼어붙은 활줄은 끊어지는 소리 내네. 지난 밤 지난 밤 낙양에서 보낸 겨울 옷을 받았는데, 달빛 아래 쓸쓸할 아내 생각에 마음 아프네.[北風吹沙雜飛雪 弓弦有聲凍欲折 寒衣昨夜洛陽來 斷腸空閨搗秋月]”라고 하였다.
  • 백제성[白帝城]  중국 사천성(四川省) 봉절현(奉節縣) 동쪽의 백제산(白帝山)에 위에 있는 성으로, 성 아래에 장강(長江)의 삼협(三峽) 가운데 하나인 구당협(瞿塘峽)의 입구인 기문(夔門)이 있다. 강물의 흐름이 아주 빠르고 산세가 몹시 험하기로 유명한 곳이다. 매우 높고 가파른 모습이 두보(杜甫)의 시 백제성최고루(白帝城最高樓)에 잘 나타나 있다. 이백(李白)의 시 조발백제성(早發白帝城)으로 유명하다. 한(漢)나라 왕망(王莽) 때 공손술(公孫述)이 성을 쌓았는데, 공손술이 촉군(蜀郡)의 태수로 있던 중 하루는 꿈을 꾸니 “공손씨(公孫氏)가 12년간 임금 노릇을 할 것이다.”라고 하였다. 이에 자기 손바닥에 공손제(公孫帝)라 새기고는 후한 건무(建武) 원년(25) 4월에 드디어 자립해서 천자라 칭하였다. 또 백제성에 있는 우물 속에서 백룡(白龍)이 나오자 스스로 한나라의 운을 이어받았다고 여기고는 자신을 백제(白帝)라고 칭하고 그 지역을 백제성(白帝城)이라 하였다. 후에 촉한(蜀漢)의 소열제(昭烈帝) 유비(劉備)가 영안성(永安城)이라고 이름을 고치고 오(吳)나라 육손(陸遜)에게 패한 후 이곳에 머물다가 성 안의 영안궁(永安宮)에서 세상을 떴다. 그 후 다시 백제성으로 불려졌다.

Leave a Reply

Your email address will not be published. Required fields are marked *

Copyright (c) 2015 by 하늘구경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