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lose

대덕[大德], 대덕[戴德], 대덕돈화[大德敦化]


대덕[大德]  고려(高麗)와 조선(朝鮮) 때 승려(僧侶)의 법계(法階)의 하나. 교선(敎禪)을 막론(莫論)하고, 대선(大選)의 위, 대사(大師)의 아래이다.

대덕[大德]  원(元) 성종(成宗)의 두 번째 연호로, 1297년~1307년까지 11년간 사용되었다.

대덕[大德]  넓고 큰 인덕(人德). 또는, 그러한 사람. 준덕(峻德). 홍덕(鴻德). 서경(書經) 중훼지고(仲虺之誥)에 “왕께서는 힘써 큰 덕을 밝히시어 백성들에게 중도를 세우소서.[王懋昭大德, 建中于民.]”라는 내용이 보이고, 중용장구(中庸章句) 제17장에 공자가 “순은 위대한 효자시도다. 덕은 성인이고, 존귀함은 천자이고, 부유함은 천하를 다 소유하시어, 종묘에서 향사를 받들고, 자손이 오래도록 보호를 받게 되었다. 그러므로 큰 덕의 소유자는 반드시 이에 합당한 지위를 얻고, 반드시 이에 합당한 작록을 받고, 반드시 이에 합당한 이름을 얻고, 반드시 이에 합당한 수명을 누리게 마련이다.[舜其大孝也與 德爲聖人 尊爲天子 富有四海之內 宗廟饗之 子孫保之 故大德必得其位 必得其祿 必得其名 必得其壽]”라고 하였다.

대덕[戴德]  대대(大戴)라고도 한다. 한나라 선제(宣帝) 때의 사람이다. 자는 연군(延君)이고 한양인(漢梁人)이다. 서한의 경학가이다. 신도왕(信都王) 유효(劉囂)의 태부(太傅)가 되었다. 조카 대성(戴聖)과 함께 후창(后蒼)에게서 수업하였다. 당시에 남아 있었던 예에 관련된 문헌을 근거로 85편을 뽑아서 대대례(大戴禮)를 만들었는데 후에 46편은 일실되고 39편만 남았는데 13권으로 묶여졌다. 한나라 선제(宣帝) 때 경학박사가 되었고 조카인 대성(戴聖)과 함께 예학을 학관(學官)의 삼가(三家)로 정립하였다.

대덕[戴德]  대덕(戴德)은 자가 연군(延君)이며, 전한(前漢) 때 금문경학가(今文經學家)이다. 형의 아들 대성(戴聖)과 함께 후창(后蒼)에게 수학하였으며, 선제(宣帝) 때 경학 박사가 되어 대성·경보(慶普)와 함께 예학의 삼가(三家)를 이루었다. 진(秦)·한(漢) 이전의 각종 고대 예의에 관한 문헌에서 85편을 선정하여 대대례(大戴禮)를 만들었는데, 대성(大聖)의 예학과 구분하기 위해 당시 대대례라고 불렀다. 그후 서량(徐良)에게 전수하였다. 뒤에 46편이 망실되고, 지금은 39편의 대대례기(大戴禮記)만이 전한다.

대덕[戴德]  전한(前漢) 초기의 문신이자 학자로 자는 연군(延君)이고 대대학(大戴學)의 개창자이다. 조카인 대성(戴聖)과 구별하기 위해 흔히 대대(大戴)로 불리는데, 예(禮)에 정통하여 선제(宣帝) 때 박사(博士)가 되었다. 진한(秦漢) 이전의 각종 예의에 관한 문헌에서 85편을 선정하여 대대례(大戴禮)를 만들었는데, 46편이 망실되고 지금은 39편만 전한다. 지금의 예기(禮記)는 대성이 엮은 소대례기(小戴禮記)를 가리킨다.

대덕돈화[大德敦化]  중용장구(中庸章句) 제30장에 “만물이 함께 길러져 서로 해치지 않으면 도가 함께 행하여 서로 위배되지 않는다. 작은 덕은 냇물의 흐름이요, 큰 덕은 화(化)를 돈후히 하니, 이는 천지가 위대함이 되는 것이다.[萬物並育而不相害, 道並行而不相悖, 小德川流, 大德敦化, 此天地之所以爲大也.]”라고 하였다. 이에 대해서 정현(鄭玄)은 “소덕천류(小德川流)는 적셔 주고 싹을 틔우는 것으로서 제후를 비유한 것이요, 대덕돈화(大德敦化)는 만물을 돈후하게 생육하는 것으로서 천자를 비유한 것이다.[小德川流 浸潤萌芽 喩諸侯也 大德敦化 厚生萬物 喩天子也]”라고 해설하였다.

Leave a Reply

Your email address will not be published. Required fields are marked *

Copyright (c) 2015 by 하늘구경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