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lose

下終南山過斛斯山人宿置酒하종남산과곡사산인숙치주 / 산달이 날 따라와 / 李白이백


暮從碧山下[모종벽산하]   저물어 푸른 산을 내려왔더니

山月隨人歸[산월수인귀]   산달이 돌아오는 나를 따라 왔네

却顧所來徑[각고소내경]   잠시 멈춰 내려 온 길 돌아다보니

蒼蒼橫翠微[창창횡취미]   푸른 기운 아득히 산허리를 둘렀네

相攜及田家[상휴급전가]   이끌려 농삿집 초가에 이르니

童稚開荊扉[동치개형비]   어린아이가 사립문을 열어주네

綠竹入幽徑[녹죽입유경]   푸른 대나무는 길에까지 나 있고

靑蘿拂行衣[청나불행의]   덩굴이 나풀대는 옷자락에 걸리네

歡言得所憩[환언득소게]   쉬어 갈 곳을 찾아 기쁘다 말하며

美酒聊共揮[미주료공휘]   맛 좋은 술기운에 함께 들떴네

長歌吟松風[장가음송풍]   길게 노래하여 솔바람을 읊으니

曲盡河星稀[곡진하성희]   노래 끝날 무렵 은하수도 희미하네

我醉君復樂[아취군복낙]   내 취하니 그대 다시 즐거워하고

陶然共忘機[도연공망기]   얼큰하니 느긋이 세상일을 잊었네

<下終南山過斛斯山人宿置酒하종남산과곡사산인숙치주 / 종남산 아래 곡사산인을 방문하여 술을 마시다 / 李白이백>


  • 이백[李白]  당(唐)나라 때의 시인. 자는 태백(太白). 호는 청련거사(靑蓮居士), 취선옹(醉仙翁). 두보(杜甫)와 함께 이두(李杜)로 병칭되는 중국의 대표 시인이며, 시선(詩仙)이라 불린다. 아버지는 서역(西域)의 호상이었다고 전한다. 출생지는 오늘날의 쓰촨성[四川省]인 촉(蜀)나라의 장밍현[彰明縣] 또는 더 서쪽의 서역으로서, 어린 시절을 촉나라에서 보냈다. 당 현종(唐玄宗) 때 한림학사(翰林學士)에까지 올랐으나 현종의 실정 이후 정치에 뜻을 잃고 방랑시인이 되었다. 그의 시는 서정성(抒情性)이 뛰어나 논리성(論理性), 체계성(體系性)보다는 감각(感覺), 직관(直觀)에서 독보적(獨步的)이다. 술, 달을 소재(素材)로 많이 썼으며, 낭만적(浪漫的)이고 귀족적(貴族的)인 시풍을 지녔다. 천하를 주유하며 수많은 시를 남겼으며, 그의 생활 태도를 반영한 대표작으로는 촉도난(蜀道難)이 있다. 이태백시집(李太白詩集) 30권이 전한다.
  • 취미[翠微]  산의 중허리. 먼 산에 엷게 낀 푸른 빛깔의 기운. 산기운이 푸르러서 아롱아롱하게 보이는 빛.
  • 청나[靑蘿]  푸른 담쟁이덩굴.
  • 행의[行衣]  유생(儒生)의 웃옷. 소매가 넓은 두루마기에 검은 천으로 가장자리를 꾸몄음.
  • 도연[陶然]  흐뭇하다. 편안하고 즐겁다. 느긋하다.
  • 망기[忘機]  자기 이해타산을 따지거나 남을 해치려는 마음을 품지 않다. 담박하고 수수하다.

Leave a Reply

Your email address will not be published. Required fields are marked *

Copyright (c) 2015 by 하늘구경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