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lose

가릉[歌菱]~가릉빈가[迦陵頻伽]~가릉지회[柯陵之會]


가릉[嘉陵]  경기도 가평을 가리킨다.

가릉[歌菱]  마름을 따면서 부르는 노래이다. 남조(南朝) 포조(鮑照)의 채릉가(採菱歌)에 “맑은 한수 남쪽에서 능가를 부른다.[菱歌淸漢南]”라고 하였다.

가릉[迦陵]  불교의 전설 속에 나오는 좋은 소리를 내는 새의 이름으로, 범어(梵語) kalavinka의 음역(音譯)이다. 정법염처경(正法念處經) 관천품(觀天品)에 “가릉빈가(迦陵頻伽)는 그 소리가 아름답고 묘하여 파구조(婆求鳥)의 소리와 같아 대중들이 듣고는 좋아하는데, 허공중으로 날아올라 스스로 즐긴다.”라고 하였다. 부처의 교리를 전파하는 승(僧)이라는 뜻으로도 쓰인다.

가릉강[嘉陵江]  개원(開元)은 당나라 현종(玄宗) 전반기의 연호이다. 현종이 어느 날 갑자기 촉도(蜀道)의 가릉강(嘉陵江) 산수가 몹시 생각나서 당시 이름난 화가였던 오도현(吳道玄)에게 명하여 즉시 달려가서 가릉강의 산수를 그려 오게 했다. 오도현이 다녀와서 아뢰기를 “신은 그림을 그려 오지는 못했고, 모든 경치를 마음속에 기억해 왔습니다.”라고 하므로, 그를 대동전(大同殿)으로 보내어 그리게 한 결과, 가릉강 3백여 리의 산수를 하루에 다 그려 냈다고 한다. <山堂肆考 卷166>

가릉군[嘉陵郡]  지금 가평군의 조선 시대 이름이다.

가릉빈가[迦陵頻伽]  불경(佛經)에 나오는 상상(想像)의 새이다. 히말라야 산에 사는 데 소리가 곱기로 유명(有名)하다. 또 극락(極樂) 정토에 깃들며, 사람의 머리에 새의 몸 모양을 하고 있다 한다. 옛날에 동양(東洋)에서 이 새를 천사가 날아가는 것과 같은 모양으로 그린 것은 그 소리가 고운 것을 이상화(理想化)하여 모양의 아름다움으로 형태화(形態化)한 것이다. 인도(印度)에서 나는 소리가 곱고 깃이 아름다운 ‘불불(bulbul)’새를 이르기도 한다.

가릉빈가[迦陵頻伽]  불교에서 나오는 극락정토에 있다고 일컬어지는 상상의 새로서 머리는 미녀의 얼굴 모습에 목소리는 들어서 싫증나지 않는 아름다운 목청을 가지고 있으며 용의 꼬리가 달린 극락정토에 산다는 새이다.

가릉지회[柯陵之會]  노성공(魯成公) 17년(서기전 574년)에 노후(魯侯)·윤자(尹子)·단자(單子)·진후(晉侯)·제후(齊侯)·송공(宋公)·위후(衛侯)·조백(曹伯)·주인(邾人)이 연합하여 정(鄭)나라를 정벌하고, 6월 26일에 가릉(柯陵)에서 회맹(會盟)한 일을 이른다. 가릉(柯陵)은 당시 정(鄭)나라 땅으로, 지금의 하남성(河南省) 신정현(新鄭縣) 서쪽이다.

Leave a Reply

Copyright (c) 2015 by 하늘구경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