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lose

각석륵공[刻石勒功]~각선[却扇]~각성[覺性]


각석륵공[刻石勒功]  비석에 공적을 새김을 이른다. 후한서(後漢書) 두헌전(竇憲傳)에 “乃拜憲車騎將軍 大破單于 遂登燕然山 刻石勒功”이라는 기록이 보인다. 때는 후한 화제(和帝) 영원(永元) 원년이다.

각선[脚船]  사자(使者)가 승선한 배로부터 육지에 오르거나 승선할 때에 옮겨 타는 배이다. 견선과 같이 연례송사에는 허락되지 않았다.

각선[却扇]  혼례를 의미한다. 고대(古代)에 혼례를 행할 때 신부가 부채로 얼굴을 가리다가 맞절을 한 이후에 부채를 물리치는 것을 말한다. 북주(北周) 유신(庾信)의 위량상황후세자여부서(爲梁上黃侯世子與婦書)에 “휘장 안에서 술잔을 나누고, 침상 앞에서 부채를 물리친다.[分杯帳裏 却扇牀前]”라는 구절에서 나온 말이다.

각선[郄詵]  진(晉) 각선이 현량대책(賢良對策)으로 천하제일이었다. <晉書 卻詵傳>

각설[却說]  고전 소설에서 이야기를 전환할 때 쓰는 용어. 화제를 돌리어 딴 말을 꺼낼 때 그 첫머리에 쓰는 말이다. 차설(且說).

각성[角聲]  오음(五音)의 하나이다. 그 성질이 꼿꼿하고, 그 소리[木聲]는 닭이 나무에서 우는 것 같고 용(湧)을 주장한다. 각은 잘 부딪쳐 부리기 어려우니, 백성의 상(象)이다. <樂學軌範 卷1 五聲圖說>

각성[角聲]  오음의 하나이니, 빠르고도 맑다.

각성[覺性]  조선 시대의 승려로, 호는 벽암(碧巖)이며 속성은 김씨(金氏)이다. 9세에 아버지를 잃자 출가할 뜻을 품고 10세에 화산(華山)에 들어가 설묵(雪默)을 스승으로 공부했고, 14세에 보창(寶唱)에게서 구족계(具足戒)를 받은 후 경전의 공부를 시작하였다.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해전(海戰)에 참가하였고, 1615년 스승이 죽자 지리산·태백산 등에 은거하였고, 1624년 조정에서 남한산성을 쌓을 때 그에게 팔도도총섭(八道都摠攝)의 직위를 주어 승군(僧軍)을 거느리고 성을 쌓는 일을 맡게 하였는데, 3년 후에 완공하자 보은천교원조국일도대선사(報恩闡敎圓照國一都大禪師)라는 호를 주었다. 1632년에 구례 화엄사(華嚴寺)를 중수하고, 1635년 병자호란 때 의승(義僧) 3,000명을 규합하여 항마군(降魔軍)이라 칭하고 북상(北上)하던 중 강화가 성립되자 지리산으로 되돌아갔다. 1640년 쌍계사로 옮겨가 절을 수리하고, 규정도총섭(糾正都摠攝)이 되어 무주(茂州)의 적상산성(赤裳山城)에 있으면서 사고(史庫)를 보호하였다. 1646년 속리산으로 다시 돌아와 동문(同門)인 고한희언(孤閑熙彦)과 가까이 살면서 아침저녁으로 도담(道談)을 즐기다가, 고한이 화엄사로 돌아가 죽자 그도 화엄사로 들어가 여생을 보내다가 1660년에 앉은 채로 입적하였다. 저서에 도중결의(圖中決疑), 간화결의(看話決疑), 석문상의초(釋門喪儀抄)가 있다.

Leave a Reply

Your email address will not be published. Required fields are marked *

Copyright (c) 2015 by 하늘구경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