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lose

능소화(凌宵花, 紫葳花자위화)


능소화(凌宵花, 紫葳花자위화)

하늘에 이르는. 절정에 뚝뚝 지는 꽃

그리움. 기다림. 명예

등라화(藤羅花),  타태화(墮胎花), 금등화(金藤花), 어사화(御賜花), 여위화(女葳花)라고도 한다. 옛날에는 양반집 마당에만 심을 수 있었다 하여 양반꽃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

중국 원산으로 우리나라 전역에서 심어 기르는 덩굴나무이다. 길이는 8~10m쯤이며, 곳곳에서 공기뿌리가 나와 다른 물체를 붙잡고 줄기는 덩굴진다. 잎은 마주나며, 작은잎 5~9장으로 된 깃꼴겹잎으로 길이 10~20cm이다. 작은잎은 난형 또는 난상 피침형, 길이 3~6cm, 폭 1.5~3.0cm, 가장자리에 고르지 않은 톱니가 있다. 꽃은 7-8월에 피며 새로 난 가지 끝에 원추꽃차례로 달리고 지름 6~7cm, 노란빛이 도는 붉은색이다. 열매는 삭과이며, 기둥 모양, 2개로 갈라지고 9~10월에 익는다. 민가 주변에 관상용으로 식재하며, 꽃은 약용으로 쓴다. <국립생물자원관 생물다양성정보, 한반도 생물자원 포털(SPECIES KOREA)>

***

옛날 어느 궁궐에 소화(宵花)라는 아리땁고 앳된 궁녀가 있었다. 임금의 하룻밤 사랑을 받아 빈의 자리에 올랐지만, 왠지 임금은 그 후로 소화의 처소에 발길을 하지 않았다. 게다가 다른 비빈들의 시샘과 음모로 궁궐의 가장 깊숙한 곳까지 밀려나게 된 소화는 임금이 오기만을 애타게 기다렸다. 혹 발소리라도 들리지 않을까 그림자라도 비치지 않을까 담 주변을 서성이며 애타는 기다림의 세월을 보냈다. 그리움에 지친 소화는 결국 상사병에 걸려 ‘죽거든 담장 가에 묻어 오가는 임금님의 얼굴이라도 보게 해 달라’는 애절한 유언을 남기고 쓸쓸히 죽어갔다. 소화가 묻힌 곳에서 싹이 자라나 덩굴지고, 임금을 기다리던 소화처럼 담장 너머 귀 기울이는 꽃을 피웠으니 그것이 능소화라 한다.

***

마이산 능소화 덩굴

왼쪽 암자?(마이산 탑사 영산각) 우측 지붕 뒤 암벽의 거무누리튀튀한 부분

Leave a Reply

Copyright (c) 2015 by 하늘구경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