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lose

겸시[鉗市]~겸의령타옥[蒹倚怜他玉]~겸인지용[兼人之勇]


겸시[鉗市]  목에 쇠사슬을 감고 저잣거리에 끌려 다닌다는 뜻으로, 떠나야 할 때 떠나지 않다가 마침내 치명적인 굴욕을 당하는 것을 말한다. 신공(申公)과 백생(白生)과 목생(穆生)이 동시에 전한(前漢)의 초원왕(楚元王)을 섬겼는데, 목생이 술을 좋아하지 않는 것을 원왕이 알고는 주연을 베풀 때마다 그를 위해 항상 감주[醴]를 내놓았다. 그런데 뒤에 원왕의 손자인 왕무(王戊)가 사위(嗣位)하여 주연을 베풀 적에 어느 날 깜박 잊고서 감주를 한번 내놓지 않자, 목생이 “이제 떠나가야겠다. 감주를 내놓지 않은 것은 왕의 뜻이 태만해진 것이니, 떠나지 않는다면 초나라 사람들이 장차 나의 목에 쇠사슬을 걸고 저잣거리를 끌고 다닐 것이다.[可以逝矣 醴酒不設 王之意怠 不去 楚人將鉗我於市]”라고 하면서, 신공과 백생이 극력 만류함에도 불구하고 병을 핑계로 마침내 떠나갔는데, 신공과 백생은 계속 남아 있다가 결국에는 서미(胥靡)의 형(刑)을 받고서 붉은 옷[赭衣]을 몸에 걸치고 저잣거리에서 절구질하는 치욕을 당하였다. <漢書 卷36 楚元王傳> 서미(胥靡)에 대해서 안사고(顔師古)는 “서로들 줄줄이 묶여 복역하기 때문에 서미라고 하니, 오늘날 복역하는 죄수들이 쇠사슬로 서로들 연결되어 있는 것과 같다.[聯繫使相隨而服役之 故謂之胥靡 猶今之役囚徒以鎖聯綴耳]”라고 해설하였다.

겸시독[兼侍讀]  한림원시독학사(翰林院侍讀學士)를 이르는데, 모두 겸직이었으므로 겸시독(兼侍讀)이라고 칭하였다. 시독학사(侍讀學士)는 천자의 경연(經筵)에서 강의하는 책무를 맡았다.

겸애[兼愛]  묵적(墨翟)이 주장한 설로, 친근(親近)하고 소원(疎遠)함에 관계없이 모든 대상을 똑같이 사랑한다는 설인데, 유자(儒者)들로부터 이단의 취급을 받는 학설이다.

겸애무사 차인의지정야[兼愛無私 此仁義之情也]  모든 사람을 똑같이 사랑하여 사심이 없는 것, 이것이 바로 인의의 실정임. 사심이 없다는 것은 차별이 없다는 뜻이다.

겸양지덕[謙讓之德]  겸손(謙遜)하고 사양(辭讓)하는 미덕(美德)을 이른다.

겸의령타옥[蒹倚怜他玉]  겸가(蒹葭)가 옥수(玉樹)에 의지하다. 겸가는 갈대인데, 갈대같이 변변찮은 자가 옥으로 만든 나무같이 훌륭한 인물에게 의지한다는 뜻이다.

겸의옥[蒹倚玉]  변변치 못한 사람이 훌륭한 사람에게 의지한 것을 비유한 말이다. 세설신어(世說新語) 용지(容止)에 “위 명제(魏明帝)가 황후의 아우 모증(毛曾)을 하후 현(夏侯玄)과 같이 앉게 하니, 그때 사람들이 ‘갈대가 옥수(玉樹)에 의지하였다.’라 했다”라고 하였다.

겸인[傔人]  실내에서 수령의 잔심부름을 맡아보던 사사로운 종이다. 청지기, 또는 겸종(傔從)이라고도 한다.

겸인지력[兼人之力]  능히 몇 사람을 당해낼 만한 힘을 이른다..

겸인지용[兼人之勇]  몇 사람을 능(能)히 당해낼 만한 용기(勇氣)를 이른다.

Leave a Reply

Your email address will not be published. Required fields are marked *

Copyright (c) 2015 by 하늘구경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