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lose

교정견귀천[交情見貴賤]~교정내견[交情乃見]~교정상반복[交情常反覆]


교정감예[交情甘醴]  장자(莊子) 산목(山木)에 “군자(君子)의 사귐은 물처럼 담담하고, 소인(小人)의 사귐은 단술처럼 달콤한데, 군자는 담담함으로써 친밀해지고 소인은 달콤함으로써 사귐이 끊어진다.”고 한 데서 온 말이다.

교정견귀천[交情見貴賤]  사람들의 교제하는 정이 반복무상(反覆無常)하다는 뜻이다. 한나라 때 적공(翟公)이 높은 벼슬을 할 때에는 찾아오는 손님들이 문전성시를 이루다가 파직당하자 참새 그물을 쳐 놓을 정도로 문 앞이 한산하기만 하였다. 그러다가 다시 복직된 뒤에 빈객들이 서로 앞다투어 찾아왔다. 이에 대문에 큰 글씨로 “한번 죽고 한번 사는 데에서 교제하는 정을 알겠고, 한번 가난해지고 한번 부자가 되는 데에서 교제하는 태도를 알겠으며, 한번 귀해지고 한번 천해지는 데에서 교제하는 정이 드러난다.[一死一生 乃知交情 一貧一富 乃知交態 一貴一賤 交情乃見]”라고 써 붙이고는 손님을 일체 사절하였다. <史記 卷120 汲鄭列傳 史論>

교정교투칠[交情膠投漆]  교분이 아주 깊었다는 뜻이다. 아교[膠]를 칠(漆) 속에 넣으면 딱 달라붙으므로, 아교와 칠은 정이 서로 깊은 것을 표현하거나 융통성이 없는 것을 표현하는 말로 쓰인다.

교정내견[交情乃見]  한(漢) 나라 때 책공(翟公)이 처음 정위(廷尉)가 되었을 때는 빈객들이 서로 앞을 다투어 찾아왔는데, 그가 파면됨에 미쳐서는 빈객이 한 사람도 찾아오지 않아서, 문밖에 새그물을 칠 정도로 적적했다. 뒤에 다시 정위에 임명되자, 빈객들이 예전처럼 서로 앞을 다투어 찾아오므로, 인정의 반복무상함에 분개하여 자기 집 문에다 크게 써 붙이기를 “한 번 죽고 사는 데서 사귀는 정을 알 수 있고, 한 번 가난하고 부한 데서 사귀는 태도를 알 수 있으며, 한 번 귀하고 천한 데서 사귀는 정이 바로 드러난다.[一死一生 乃知交情 一貧一富 乃知交態 一貴一賤 交情乃見]”고 했던 데서 온 말이다.

교정상반복[交情常反覆]  사람들의 교제하는 정이 반복무상(反覆無常)하다는 뜻이다. 한나라 때 적공(翟公)이 높은 벼슬을 할 때에는 찾아오는 손님들이 문전성시를 이루다가, 파직당하자 참새 그물을 쳐 놓을 정도로 문 앞이 한산하기만 하였다. 그러다가 다시 복직된 뒤에 빈객들이 서로 앞다투어 찾아왔다. 이에 대문에 큰 글씨로 “한번 죽고 한번 사는 데에서 교제하는 정을 알겠고, 한번 가난해지고 한번 부자가 되는 데에서 교제하는 태도를 알겠으며, 한번 귀해지고 한번 천해지는 데에서 교제하는 정이 드러난다.[一死一生 乃知交情 一貧一富 乃知交態 一貴一賤 交情乃見]”라고 써 붙이고는 손님을 일체 사절하였다. <史記 卷120 汲鄭列傳 史論>

Leave a Reply

Copyright (c) 2015 by 하늘구경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