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lose

구인공휴일궤[九仞功虧一簣]~구인극복[求仁克復]~구인누취과[苟因陋就寡]


구인결여정출[蚯蚓結茘挺出]  예기(禮記) 월령에 나오는 말로 “중동월(仲冬月)이 되면 운(芸)이 비로소 나고 여정(荔挺)이 산출되며, 지렁이는 몸을 도사리고[蚯蚓結] 사슴은 뿔이 빠지며, 수천(水泉)이 움직인다.”고 하였다.

구인공휴일궤[九仞功虧一簣]  위산구인 공휴일궤(爲山九仞 功虧一簣). 아홉 길 산을 쌓는 데 한 삼태기의 흙이 모자라 공이 한꺼번에 무너진다. 조금 더 했으면 목적을 이룰 수 있었는데 마지막 단계에서 손을 뺌으로써 일이 실패로 돌아가는 것을 비유하는 말이다. 서경(書經) 여오편(旅獒篇)에 “주(周)나라 무왕(武王)이 은(殷)나라 주왕(紂王)을 무찌르고 새 왕조를 열었는데 여(旅)라는 오랑캐 나라에서 ‘오(獒)’라는 진기(珍奇)한 개를 선물로 보냈다. 오는 키가 넉 자나 되는 큰 개로 사람의 말을 잘 알아듣고 또 사람이나 짐승을 잘 덮친다 해서 무왕이 몹시 기뻐하며 소중히 여기자 동생인 소공(召公) 석(奭)은 무왕이 혹시 그런 진기한 물건에 마음이 끌려 정치를 등한히 하지나 않을까 하는 염려에서 이를 일깨워 말하기를 ‘슬프다, 임금 된 사람은 아침부터 저녁까지 잠시라도 게으름을 피우면 안 된다. 아무리 사소한 일이라도 이를 조심하지 않으면 마침내 큰 덕을 해치기에 이르게 된다. 예를 들어 흙을 가져다가 산을 만드는데, 이제 조금만 일을 계속하면 아홉 길 높이에 이르게 되었을 때, 이제는 다 되었다 하고 한 삼태기의 흙을 운반하는 데 게을리 하게 되면 지금까지의 해 온 일이 모두 허사가 된다.’고 했다.”는 고사에서 온 말이다.

구인극복[求仁克復]  인(仁)을 구하려면 극기복례(克己復禮)를 하여야 한다는 말로 논어(論語)의 안연(顔淵)편에 나오는 말이다.

구인기유종정리[救人豈有從井理]  공자(孔子)의 제자 재아(宰我)가 인(仁)을 하다가 피해를 당할까 염려하여 “인자에게 만일 우물에 사람이 빠졌다고 하면[仁者雖古之曰井有仁焉] 그 말대로 곧장 따릅니까[其從之也]?”라고 묻자, 공자는 대답하기를 “어찌 그렇게 하겠느냐[何爲其然也]? 군자는 가더라도[君子可逝也] 속임수에 걸려들지 않을 것이며[不可陷也], 속을 수는 있겠지만[可欺也] 속임수를 모를 리 없을 것이다[不可罔也].”라고 한 말을 인용한 것이다. <論語 雍也>

구인누취과[苟因陋就寡]  한(漢)나라 유흠(劉歆)의 이양태상박사서(移讓太常博士書)에 “과거에 옛것만 고수하는 학자들은 그동안 서책이 폐기되고 없어져서 결함이 있게 되었다는 것은 생각하지 못하고서, 그저 구차하게 고루한 소견만 인습하면서 개선될 방향은 모색하지 않은 채[苟因陋就寡], 문자를 분석하는 일에만 매달렸다.”는 말이 나온다. <文選 卷43>

Leave a Reply

Copyright (c) 2015 by 하늘구경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