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lose

국부상서[麴部尙書], 국불이리위리[國不以利爲利], 국비기국[國非其國], 국빈[國賓]


국부[麴部]  당(唐) 나라 여양왕 진(汝陽王璡)이 술을 좋아해서 국부상서(麴部尙書)라 자칭하였다 한다. <雲仙雜記>

국부병강[國富兵彊]  나라가 부유하고 군대가 강함을 이른다. 부국강병(富國强兵).

국부상서[麴部尙書]  술을 잘 마시는 사람에 대한 해학적인 별명이다. 당(唐) 나라 여양왕(汝陽王) 진(璡)은 집에 술을 빚는 특별한 방법이 있어 감로경(甘露經)이라 이름하였으며 ‘양왕 겸국부상서(釀王兼麴部尙書)’라 자칭하였다. <醉仙記>

국불이리위리[國不以利爲利]  나라를 다스리는 것은 이(利)를 탐내서 이익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 아니라는 뜻이다. 대학(大學) 전문십장(傳文十章)에 “맹헌자가 말하기를 ‘마승을 기르면 닭과 돼지를 살피지 않고, 벌빙하는 집안은 소와 염소를 기르지 않으며, ​백승을 가진 집안은 취렴하는 신하를 두지 않는다. 취렴하는 신하를 두가보다는 차라리 도적질하는 신하를 둔다.’라고 했으니, ​이를 일러 ‘나라는 이익으로써 이익을 삼지 않고, 의(義)로써 이익을 삼는다.’라고 하는 것이다.[孟獻子曰 畜馬乘 不察於鷄豚 伐氷之家 不畜牛羊 百乘之家 不畜聚斂之臣 與其有聚斂之臣 寧有盜臣 此謂國不以利爲利 以義爲利也]”라고 하였다.

국비기국[國非其國]  춘추곡량전(春秋穀梁傳) 장공(莊公) 28년 조에 “나라에 9년을 버틸 저축이 없는 것을 ‘위급하다’고 하며, 3년을 버틸 저축이 없는 것을 ‘그 사람의 나라가 아니다[國非其國也]’라고 한다.”고 하였다.

국빈[國賓]  주역(周易) 관괘(觀卦) 육사(六四)에 “나라의 빛남을 봄이니, 왕에게 손님이 됨이 이롭다.[觀國之光 利用賓于王]”라고 하였고, 관괘(觀卦) 육사(六四) 전(傳)에 “옛날 현덕의 사람이 있으면 인군이 손님으로 예우하였으므로, 선비가 왕조에 벼슬하는 것을 빈이라 이른다.[古者有賢德之人 則人君賓禮之 故士之仕進於王朝 則謂之賓]” 하였는데, 이는 조정에서 벼슬하는 것을 뜻한다.

국빈[國賓]  두보(杜甫)의 시 봉증위좌승장이십이운(奉贈韋左丞丈二十二韻)에 “내가 옛날 젊을 때. 일찍부터 관국빈에 충당되었네. 만권의 책을 독파하니 붓을 내림에 신이 들린 듯했네.[甫昔少年日, 早充觀國賓. 讀書破萬卷, 下筆如有神.]”라고 한 데서 유래하여 감시(監試 반시(泮試))에 급제함을 말한다. 참고로, 주역(周易) 관괘(觀卦) 육사효(六四爻)에 “육사는 나라의 광휘를 관찰함이니, 왕께 손이 되는 것이 이롭다.[六四 觀國之光 利用賓于王]”라고 하였다.

Leave a Reply

Copyright (c) 2015 by 하늘구경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