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lose

궁도시공[窮到詩工]~궁도지곡[窮道之哭]~궁독구자[弓韣求子]


궁도곡[窮途哭]  막다른 길에서 통곡한다는 뜻으로, 삼국 시대 위(魏)나라 완적(阮籍)이 울분을 달래려고 혼자 수레를 타고 나갔다가 길이 막히면 문득 통곡하고 돌아왔다고 하는고사가 전하는데, 보통 곤경(困境)에 떨어져서 희망이 전무한 상태를 비유하는 말로 쓰인다. <晉書 卷49 阮籍列傳>

궁도곡진광[窮途哭晉狂]  진(晉) 나라 때 보병교위(步兵校尉) 완적(阮籍)은 천성이 방달불기(放達不羈)하여 때로는 마음 내키는 대로 수레를 타고 아무 곳으로나 가다가 더 이상 갈 수 없이 길이 막히면 통곡하고 돌아왔다 한다. <晉書 卷49 阮籍列傳>

궁도노완[窮途老阮]  궁도(窮途)의 늙은 완적(阮籍). 진(晉) 나라 때 죽림칠현(竹林七賢)의 한 사람인 완적은 수시로 혼자 무작정 수레를 타고 큰 길을 마냥 가다가 수레의 길이 막힌 곳을 만나면 매양 통곡을 하고 돌아왔다는 고사에서 온 말로, 전하여 곤경(困境)에 처해서 몹시 상심(傷心)하는 것을 의미한다.

궁도루[窮途淚]  궁도는 길의 끝이란 뜻으로 아무런 방편(方便)이 없는 곤궁한 환경을 가리킨다.

궁도시공[窮到詩工]  송(宋)나라 구양수(歐陽脩)가 매성유시서(梅聖兪詩序)에서 “시가 사람을 궁하게 만드는 것이 아니라, 사람이 궁해진 뒤에야 시가 멋들어지게 되는 것이다.[非詩能窮人 詩窮者而後工也]”라고 한 데서 취한 것이다.

궁도읍[窮途泣]  궁도지곡(窮途之哭). 즉 ‘길이 끝나는 데서 통곡하다’라는 뜻으로 몸이 곤경에 처하여 슬퍼하는 것을 비유적으로 표현한 말이다. 진서(晉書) 완적전(阮籍傳)에 “때때로 맘이 동하면 홀로 수레를 몰고 나가 정해진 길도 없이 가다가 길이 막히는 곳에서 문득 큰 소리로 울다가 돌아왔다.[時率意獨駕, 不由徑路, 車跡所窮, 輒慟哭而反]”고 하였다.

궁도지곡[窮道之哭]  진(晉) 나라 때 죽림칠현(竹林七賢)의 한 사람인 완적(阮籍)이 수시로 혼자 수레를 타고 큰길을 마냥 가다가 길이 막힌 곳을 만나면 매양 통곡하고 돌아왔다는 고사에서 온 말로, 전하여 곤경에 처해서 몹시 상심하는 것을 비유한다.

궁독[窮黷]  궁독은 궁병독무(窮兵黷武)의 약칭으로 무력을 남용하는 행위. 즉, 병력을 남용하여 정벌을 일삼는 것을 가리킨다.

궁독[弓韣]  활집. 옛날 천자(天子)가 태자(太子) 낳기를 비는 마음으로 활집과 활 화살 등 남자가 쓰는 물건을 갖게 하였다고 한다. <禮記 月令 仲春>

궁독구자[弓韣求子]  옛날 3월에 천자와 비빈(妃嬪)이 신전(神殿)에 가서 활 전대[弓韣]를 드려 제사하여 아들을 점지해 달라 빌었다.

Leave a Reply

Copyright (c) 2015 by 하늘구경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