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토끼를 잡으려다 집토끼를 놓치지 마라 <열자/설부>
진 문공(晉文公)이 군대를 이끌고 나가 제후들과 회합하여 위(衛)나라를 정벌하고자 하였다. 그러자 공자(公子) 서(鋤)가 하늘을 보며 웃었다. 이에 진 문공이 웃는…
진 문공(晉文公)이 군대를 이끌고 나가 제후들과 회합하여 위(衛)나라를 정벌하고자 하였다. 그러자 공자(公子) 서(鋤)가 하늘을 보며 웃었다. 이에 진 문공이 웃는…
자양공 스스로가 나를 알아준 것이 아니라오. 남의 말을 듣고 나에게 곡식을 보내준 것이니 그가 나에게 죄를 줄 때에도 또 남의 말을 듣고 처벌할 것이오. 이것이 내가 그것을 받지 않은 까닭이라오.
소아변일(小兒辯日)은 두 어린아이가 해에 대하여 말다툼을 한다는 뜻으로, 해의 거리에 관해 서로 다른 그럴싸한 의견으로 다툼을 벌이면서 따지는데 공자(孔子)도 뚜렷이 결론을 내릴 방법이 없었다는 데서, 서로 따져서 결정을 내리기 어려운 것을 이르는 말로 쓰인다. 양소아변일(兩小兒辯日)이라고도 한다. 공자(孔子)가 …
과보는 자신의 역량 헤아려보지도 않고, 해의 그림자를 쫓아가려 하였다. 해를 따라 우곡(隅谷)이라는 골짜기에 이르렀다. 목이 말라 물을 마시고 싶어서 하수(河水)와…
사람이 편히 쉴 수 없는 까닭은 生民之不得休息생민지부득휴식 네 가지 때문이니 爲四事故위사사고 오래 살려하고 …
사람이라 해서 반드시 짐승의 마음이 없는 것도 아니다. 人未必無獸心인미필무수심 비록 짐승의 마음을 지녔어도 ….
현인이라도 남 위에 군림하여 以賢臨人이현임인 인심을 얻은 경우는 아직 없었고 未有得人者也미유득인자야 현인이면서도 …
옛날에 죽지 않는 방법을 아는 사람이 있었다. 연나라의 임금이 자기의 신하 한 사람을 보내어 그 방법을 배워오도록 했다. 그러나 그…
선을 행하면 이름나고, 이름이 나면 이익이 따르고, 이익을 취하면 다툼이 이르니 선행도 조심해 행해야 한다…
옛 사람은 생이란 잠시 오는 것인 줄 알았고 죽음이란 잠시 가는 것인 줄 알았다. 마음대로 움직여도 자연에 어긋나지 않았고…
선한 일을 하면 이름을 내려 하지 않아도 이름이 따르고 行善不以爲名而名從之행선불이위명이명종지…
동방에 원정목이라는 사람이 있었는데 어느 곳을 가던 중에 굶주림으로 길에 쓰러졌다. 호보 땅에 사는 구라는 도둑이 이를 보고, 호리병을 내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