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삼모사(朝三暮四)<장자/제물론>
명분이나 실질에 있어서는 달라진 것이 없는데도 기뻐하고 성내는 작용을 하는 것도 역시 이 때문이다. 그래서 성인은 모든 시비를 조화시켜 하늘의 저울[天鈞]에 맡기고 편안히 쉬니, 이것을 일컬어 양행(兩行)이라 한다.
명분이나 실질에 있어서는 달라진 것이 없는데도 기뻐하고 성내는 작용을 하는 것도 역시 이 때문이다. 그래서 성인은 모든 시비를 조화시켜 하늘의 저울[天鈞]에 맡기고 편안히 쉬니, 이것을 일컬어 양행(兩行)이라 한다.
거백옥(蘧伯玉)은 나이 60이 되기까지 60번이나 삶의 태도가 바뀌었다. 처음에는 옳다고 주장했던 일도 끝에 가서는 옳지 않은 일이라고 부정하지 않는 일이…
장자가 산 속을 가다가 큰 나무를 보았는데 가지와 잎이 무성하였다. 나무꾼이 그 옆에 있으면서도 나무를 베지 않아 그 까닭을 물으니…
그가 어린아이처럼 행동하면 그와 더불어 어린아이처럼 행동하고, 그가 분별없이 행동하면 그와 더불어 분별없이 행동하고, 그가 방탕하게 행동하면 그와 더불어 방탕하게…
송(宋)나라 사람 중에 조상(曹商)이란 사람이 있었는데, 송나라 임금을 위해 진(秦)나라에 사신으로 갔다. 그가 갈 때 수레 몇 채가 주어졌다. 진나라…
현인이라도 남 위에 군림하여 以賢臨人이현임인 인심을 얻은 경우는 아직 없었고 未有得人者也미유득인자야 현인이면서도 …
새다운 방법으로 새를 기르려면 以鳥養養鳥者이조양양조자 의당 깊은 숲에 살게 해 주어 宜栖之深林의서지심림 두두룩한 …
부귀를 좋아하는 자는 以富爲是者이부위시자 재록을 사양치 못하며 不能讓祿불능양록 현달을 좋아하는 자는 …
공경으로 효도하기는 쉬우나 以敬孝易이경효이 사랑으로 효도하기는 어렵다. 以愛孝難이애효난 사랑으로 효도하기는…
오리의 다리는 비록 짧지만 鳧脛雖短부경수단 길게 늘여주면 괴로워할 것이며 續之則憂속지즉우 학의 다리가 비록 길지만…
진실로 슬픈 사람은 흐느끼지 않아도 슬픔이 느껴진다 眞悲無聲而哀진비무성이애 진실로 노한 사람은 성내지 않아도…
육체는 자연을 따르는 것보다 더 좋은 것이 없고 形莫若緣형막약연 심정은 본성을 따르는 것보다 더 좋은 것이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