꾸밈으로써 실용을 해친다[以文害用이문해용 : 買櫝還珠매독환주] <한비자/외저설>
초왕(楚王)이 전구(田鳩)에게 말하였다. “묵자(墨子)는 이름난 학자이다. 그는 풍채도 좋고, 말을 많이 하는데도 말을 잘하는 것이 되지 못하는 것은 어째서인가.” 전구가…
초왕(楚王)이 전구(田鳩)에게 말하였다. “묵자(墨子)는 이름난 학자이다. 그는 풍채도 좋고, 말을 많이 하는데도 말을 잘하는 것이 되지 못하는 것은 어째서인가.” 전구가…
옛날 순(舜)이 어떤 관리에게 홍수를 막도록 했는데, 그 관리가 명령이 내려지기 전에 공적을 세우자 순은 그 관리를 사형에 처하였다. 우(禹)가…
위나라가 형법을 명시하고 법령을 중히 여기던 시기에는 공로가 있는 자를 반드시 포상하고, 죄 있는 자는 반드시 벌한 결과, 국가가 강대해지고…
예로부터 “아는 것이 작은 자에게 일을 도모하게 해서는 안 되고, 작은 충성을 하는 자에게 법령을 주관하게 해서는 안 된다.”라고 하였습니다.…
신(臣)은 “정치의 법술(法術)에 밝으면 나라가 작더라도 부강하고, 상벌(賞罰)을 신중하고 확실히 하면 백성의 수가 적더라도 강대하다.”라고 생각합니다. 상벌(賞罰)을 원칙 없이 행하면…
옛 선왕(先王)은 백성과 친밀히 하기에 힘을 다하고, 법률을 명확히 하는데 더욱 전념하였습니다. 법률이 명확하면 충신(忠臣)은 권면(勸勉)되고, 반드시 벌을 주면 사신(邪臣)은…
거북의 등딱지를 뚫고[鑿龜] 점대를 셈하여[數筴] 점을 친 결과 길조(吉兆)였다 하여 연(燕)나라를 공격한 것이 조(趙)나라였습니다. 거북의 등딱지를 뚫고 점대를 셈한 결과…
월(越)나라 왕 구천(句踐)은 오(吳)나라를 정벌하려고 벼르고 있었다. 그 때문에 백성이 목숨을 내걸고 분투해주기를 바라고 있었다. 그러던 중 외출을 했다가 힘깨나…
송(宋) 나라의 숭문(崇門) 근처의 주민들은 어버이의 상을 치르다가 지치게 되고 심한 자는 야위게 되었다. 송나라 군주는 그러한 사람을 효심이 지극하다는…
이회(李悝)가 위(魏)나라 문공(文侯)을 섬기면서 상지(上地)의 태수로 있을 때, 백성들에게 궁술을 연마시키기 위해 이렇게 말하였다. “시비곡직을 가리기 어려운 소송 사건에 있어서는…
오기(吳起)가 위(魏)나라 무후(武侯)를 섬기어 서하(西河)의 태수가 되었다. 그런데 진(秦)나라 쪽 국경 가까이에 조그만 성이 있었다. 오기는 그것을 공격하려고 생각하였다. 그…
월(越)나라 왕이 대부(大夫) 종(種)에게 이렇게 물었다. “나는 오(吳)나라를 정벌하고 싶은데 잘 될 것 같은가.” 종(種)이 대답하였다. “잘 될 것입니다. 소신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