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근[徒勤]~도근종천[道根終淺]~도금[淘金]~도금[韜]~도금무보[陶琴無譜]
도근[桃根], 도근[道根], 도근[徒勤], 도근종천[道根終淺], 도금[陶琴], 도금[淘金], 도금[韜], 도금무보[陶琴無譜]
도근[桃根], 도근[道根], 도근[徒勤], 도근종천[道根終淺], 도금[陶琴], 도금[淘金], 도금[韜], 도금무보[陶琴無譜]
도규[道揆] 도규(道揆)는 의리로써 사물을 헤아려 그 마땅한 것을 제정하는 것이다. 도규[刀圭] 도규는 선가(仙家)에서 약(藥)을 담는 작은 용기를 말한 것으로, 모양이…
도궁사압[桃弓射鴨], 도궁완군[道窮阮君], 도궁완자곡[途窮阮子哭], 도궁장우생[途窮仗友生], 도궁제읍지삼숙[道窮齊邑遲三宿], 도궁지곡[途窮之哭], 도권[倒卷]
도굴[闍崛] 기도굴산(耆闍崛山)인데, 영취산(靈鷲山), 영오산(靈烏山), 영오정산(靈烏頂山)이라고도 한다. 중인도(中印度) 마게타국(摩揭陀國) 왕사성(王舍城)의 동북쪽에 있는데, 석가가 설법한 곳이다. 수경주(水經注)에 “기도굴산은 아욕달(阿縟達) 왕사성의 동북쪽에 있는데,…
도국[圖局], 도국공[道國公], 도국근성[島國根性], 도국포매[陶菊逋梅], 도군[道君], 도군[都君], 도군[陶君], 도군무현금[陶君無絃琴], 도군지주[陶君止酒], 도군황제[道君皇帝]
도구[禱久], 도구[菟裘], 도구[屠狗], 도구[陶句], 도구과두 관이분극[跿跔科頭 貫頤奮戟], 도구성[陶九成], 도구자[屠狗者], 도구참비교[渡溝塹飛橋]
도광[道光] 1821~1850. 청 선종(淸宣宗)의 연호이다. 도광[韜光] 당(唐)나라 때의 시승(詩僧)으로 생몰연도와 속성, 법명과 법호 등은 전하지 않는다. 촉(蜀) 지역 출신으로 목종(穆宗)…
도관수고[都官瘦苦] 도관(都官)은 송대(宋代)의 시인으로 일찍이 하남 주부(河南主簿), 도관 원외랑(都官員外郞) 등을 지내면서 빈궁(貧窮)하게 살았던 매요신(梅堯臣)을 가리키고, 수고(瘦苦)는 수척하고 곤궁함을 뜻한다. 매요신(梅堯臣)은…
도곽[陶郭] 양(梁)나라의 도홍경(陶弘景)과 동진(東晉)의 곽박(郭璞)을 합칭한 말이다. 도홍경은 음양(陰陽), 오행(五行), 풍각(風角), 성산(星算) 등의 술수에 정통한 은사로, 제대연력(帝代年曆), 고금도검록(古今刀劍錄), 진고(眞誥), 진령위업도(眞靈位業圖)…
도과[道果] 수행하여 득도하는 것. 도과(道果, 산스크리트어 mega-phala)란 수행을 행해 얻은 과보를 말한다. 즉, 보리(菩提)의 과보로서 얻는 열반, 깨달음을 의미한다. 도(道)는…
도공석[陶公石], 도공용사[陶公龍梭], 도공진의[陶公眞意], 도공허[逃空虛], 도공허문족음[逃空虛聞足音], 도공희공[逃空喜跫], 도공희족음[逃空喜足音]
도공류[陶公柳] 진(晉)나라 도간(陶侃)이 무창태수(武昌太守)로 있을 때 병사들을 시켜 군문 앞에 심은 버드나무를 가리킨다. 진서(晉書) 도간전(陶侃傳)에 “도간이 일찍이 관영마다 버드나무를 심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