淸晨聞叩門[청신문고문] 이른 아침에 문 두드리는 소리
倒裳往自開[도상왕자개] 뒤집어 옷 걸치고 나가 문 열며
問子爲誰歟[문자위수여] ‘누군데 그러시오’라고 물으니
田父有好懷[전부유호회] 마음 좋게 생긴 농부 서 있어
壺漿遠見候[호장원견후] 멀리서 술병 들고 인사 왔다며
疑我與時乖[의아여시괴] 시속에 엇가는 나를 의아해하네
襤縷茅簷下[남루모첨하] “남루한 옷에 띠집에 산다하여
未足爲高棲[미족위고서] 고아한 생활이라 할 수 없는 것
一世皆尙同[일세개상동] 온 세상이 다 함께함을 숭상커니
願君汨其泥[원군골기니] 그대도 세속에 섞여 살기 바라오”
深感父老言[심감부로언] “노인장의 말씀 매우 고마우나
稟氣寡所諧[품기과소해] 타고난 기질이 어울리길 잘 못하니
紆轡誠可學[우비성가학] 벼슬살이 짐짓 시늉낼 수 있다 해도
違己詎非迷[위기거비미] 자기를 어김이 어찌 미혹이 아니리오
且共歡此飮[차공환차음] 그러니 함께 이 술이나 즐깁시다
吾駕不可回[오가불가회] 내 가는 길은 되돌릴 수가 없다오.”
–
<飮酒二十首[其九]음주20수9 / 새벽 손님 / 陶淵明도연명>
–
幷序병서 : 나는 한가롭게 살아 기뻐할 일이 적은데다 근래에는 밤마저 길어지는 차에, 우연찮게 좋은 술을 얻게 되어 저녁마다 술을 마시지 않은 적이 없다. 그림자를 돌아보며 홀로 잔을 비우고 홀연히 취하곤 하는데, 취한 후에는 언제나 시 몇 구를 적어 스스로 즐겼다. 붓으로 종이에 적은 것이 꽤 되어, 말에 조리도 두서도 없지만 애오라지 친구에게 쓰게 하여 이로써 즐거운 웃음거리로 삼고자 한다.[余閒居寡歡, 兼比夜已長, 偶有名酒, 無夕不飮. 顧影獨盡, 忽焉復醉. 旣醉之後, 輒題數句自娛. 紙墨遂多, 辭無詮次, 聊命故人書之, 以爲歡笑爾.] <飮酒二十首 幷序>
- 청신[淸晨] 맑은 첫 새벽. 새벽녘. 동틀 무렵. 이른 아침.
- 도상[倒裳] 옷을 거꾸로 입다. 옷을 뒤집어 입다.
- 전부[田父] 늙은 농부, 나이 많은 농부. 농민에 대한 존칭.
- 호장[壺漿] 호장은 호리병에 담은 술이나 음료, 장, 미음 따위이다. 먼 길을 온 사람을 위로한다는 뜻이 담겨 있다. 맹자(孟子) 양혜왕장구(梁惠王章句) 下(하)에 “만승의 나라로 만승의 나라를 정벌하는데, 백성이 대그릇에 밥을 담고, 호로병에 주장(酒漿)을 담아 왕의 군대를 맞는 일은 어찌 다른 것이 있겠습니까. 물과 불을 피하려는 것입니다. 만약 물이 더욱 깊어지고 불이 더욱 뜨거워진다면 또한 바뀔 따름입니다.[以萬乘之國伐萬乘之國, 簞食壺漿, 以迎王師, 豈有他哉. 避水火也. 如水益深, 如火益熱, 亦運而已矣.]”라고 한데서 온 말이다. 흔히 백성들이 자기들을 옹호해 주는 군대를 환영하고 위로해 주는 데에 비유한다. 단사호장(簞食壺漿). 호장단사(壺漿簞食).
- 모첨[茅簷] 띠로 인 처마. 초라한 집.
- 상동[尙同] 같음을 숭상하다. 위와 하나로 화합하다.
- 부로[父老] 한 동네에서 나이가 많은 남자(男子) 어른을 높여 이르는 말. 어르신. 노인장.
- 품기[稟氣] 타고난 성질. 타고난 기운이나 원기(元氣)를 말한다.
- 우비[紆轡] 말고삐를 옆으로 휘어잡는다는 뜻으로, 바른길이 아닌 길로 나아간다는 위굴출사(委屈出仕)를 뜻한다. 우비(紆轡)・진비(振轡)는 동진(東晉)시대에 출사(出仕)를 낮추어 표현하는 말로서 자주 사용되었다. 손작(孫綽)의 난정후서(蘭亭後序)에 “옛사람이 사람의 성정(性情)을 물에 비유했으니 이 말에는 뜻이 있다. 물은 가만히 두면 맑은데, 섞으면 흐려지기 때문이 아닐까? 사람의 감정도 물과 같아서 사람이 속정에 물들면 탁하게 변해가고, 자연과 접하면 맑은 감흥이 생긴다. 그러므로 저자거리에 말을 타고 고삐를 당기노라면 우쭐한 기분이 들기 마련이지만, 자연에서 한가로이 걷노라면 생각도 맑아 탁 트이게 된다.[古人以水喻性, 有旨哉斯談. 非以停之則清, 混之則濁耶. 情因所習而遷移, 物觸所遇而興感. 故振轡於朝市, 則充屈之心生. 閑步於林野, 則遼落之志興.]”라고 한데서도 보인다.
- 미혹[迷惑] 마음이 흐려지도록 무엇에 홀림. 정신이 헷갈려서 갈팡질팡하며 헤맴. 무엇에 홀려 정신을 차리지 못함. 시비를 가리지 못하다. 판단력을 잃다. 미혹되다. 현혹되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