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lose

기비[器備]~기비권외[期費券外]~기비재아[幾非在我]~기빈[岐豳]


기비[箕否]  기비(箕丕). 기자(箕子)의 41대 손이다. 기자지(箕子志)에 따르면 비는 기자조선(箕子朝鮮) 제40대 임금 종통왕(宗統王)으로, 초명(初名)은 휼(恤)이다. 진 시황(秦始皇) 15년(기원전 232) 기사년에 즉위하여 12년간 재위하였다. <箕子志 世系>

기비[器備]  기비는 진귀한 보물과 갑옷, 병기(兵器) 등의 물건이다. 궁(弓), 시(矢), 뢰(耒: 쟁기), 사(耜: 보습), 돈(敦: 서직黍稷을 담는 그릇), 우(杅: 국을 담는 그릇), 반이(槃匜: 세수대야) 등의 용기(用器)와, 갑(甲: 갑옷), 주(冑: 투구), 간(干: 방패), 착(笮: 화살통) 등의 역기(役器: 군기軍器)와, 장(杖: 지팡이), 립(笠: 햇볕을 가리는 삿갓), 삽(翣: 부채) 등의 연기(燕器: 연회宴會 때 사용하는 기물)를 이른다. 춘추좌씨전(春秋左氏傳) 노양공(魯襄公) 5년에 “계문자(季文子)가 졸(卒)하였다. 대부(大夫)를 입렴(入斂)할 때 양공(襄公)이 가서 조계(阼階)에 서 있었는데, 가신(家臣)이 집안에 있던 기물로(器物) 장구(葬具: 부장품)를 갖추었다. 집안에는 비단옷을 입은 첩(妾)이 없고 곡식을 먹는 말이 없으며 간직해 둔 금옥(金玉)이 없고 여벌의 기물(器物)이 없으니, 군자(君子)는 이로 인해 계문자(季文子)가 공실(公室)에 충성했음을 알았다. 세 임금을 보좌(輔佐)하였으되 사사로운 저축(貯蓄)이 없었으니 충신(忠臣)이라 하지 않을 수 있겠는가.[季文子卒. 大夫入斂, 公在位. 宰庀家器爲葬備, 無衣帛之妾, 無食粟之馬, 無藏金玉, 無重器備, 君子是以知季文子之忠於公室也. 相三君矣, 而無私積, 可不謂忠乎.]”라고 한 데서 보인다.

기비권외[期費券外]  기비는 재물을 말하며 권외(券外)는 밖을 밝힌다는 뜻으로 장자(莊子)의 “안을 밝히는 자는 무명을 행하고 밖을 밝히는 자는 기비를 뜻한다.[券內者行乎無名 券外者志乎期費]”라고 한 말에서 나온 것이다.

기비재아[幾非在我]  논어(論語) 옹야(雍也)의 제5장 대주에 “장자(張載)가 말하기를 처음 배우는 사람이 중요하게 알아야 할 것은, 석 달 동안 인을 떠나지 않는 것과 하루에 한 번 한 달에 한 번 인에 이른다는 것의 내외(內外)와 빈주(賓主)의 구분을 알고, 심의로 하여금 부지런히 순서에 따라서 수양을 그치지 않도록 만들어야 될 것이니 여기를 넘어서게 되면 거의 나의 노력에 달려있지 않게 될 것이다.[張子曰 始學之要 當知三月不違 與日月至焉 內外賓主之辨 使心意勉勉循循而不能已 過此幾非在我者]”라 한 데서 온 말이다.

기빈[岐豳]  기산(岐山)과 빈(豳)인데, 건국의 발상지를 가리키는 말로, 모두 주나라가 천자국이 되기 전에 기반을 다졌던 지역이다.

기빈[岐豳]  나라가 발흥(發興)한 지역을 말한다. 주(周)나라의 선조인 공류(公劉)가 빈(豳) 지방에 처음으로 옮겨 왔고, 그 뒤 고공단보(古公亶父)가 기산(岐山)으로 옮겨 왔다.

Leave a Reply

Copyright (c) 2015 by 하늘구경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