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lose

雜興九首[其二]잡흥9수2 / 인생은 바람 앞 촛불이라 / 崔惟淸최유청


人生百歲間[인생백세간]   인생살이 백 년 한 세월이

忽忽如風燭[홀홀여풍촉]   펄럭이는 바람 앞 촛불이라

且問富貴心[차문부귀심]   묻노니 부귀를 탐하는 마음

誰肯死前足[수긍사전족]   죽기 전에 누군들 만족하리

仙夫不可期[선부불가기]   신선되기는 기약할 수 없고

世道多飜覆[세도다번복]   세상길에는 뒤집힘도 많아라

聊傾北海尊[요경북해준]   그저 공융의 술통이나 기울이고

浩歌仰看屋[호가앙간옥]   크게 노래하며 천정이나 우러르리

<雜興九首[其二]잡흥92 / 인생은 바람 앞 촛불이라 / 崔惟淸최유청 : 東文選동문선>


  • 최유청[崔惟淸]  고려(高麗) 시대의 학자이자 문신이다. 자는 직재(直哉)이고 본관은 창원(昌原)이며 문하시랑 최석(崔奭, 崔錫)의 아들이다. 예종 때 과거에 급제했으나 학문이 완성되지 않았다 하여 벼슬을 하지 않고 독서에만 힘썼다. 후에 추천을 받아 직한림원(直翰林院)이 되었으나 인종초에 이자겸(李資謙)의 간계로 파직되었다. 이자겸이 몰락한 뒤 내시(內侍)가 되었고, 좌사간(左司諫)·상주수(尙州守)·시어사(侍御史)를 역임하였다. 1132년(인종10)에 예부원외랑(禮部員外郎)으로 진주사(陳奏使)가 되어 송나라에 다녀왔다. 1142년에 간의대부(諫議大夫)로 금나라에 다녀와 호부시랑(戶部侍郎)에 제수되었고, 동북면병마부사(東北面兵馬副使)·승선(承宣)을 역임하였다. 1149년(의종3)에 참지정사, 중서시랑평장사가 되고, 2년 후 왕제 대령후(大寧侯)가 참소된 사건에 처남인 정서(鄭敍)와 함께 관련되어 남경유수사(南京留守使)로 좌천되고, 6년 뒤 충주목사(忠州牧使), 광주목사(廣州牧使)로 좌천되었다. 1161년(의종15)에 중서시랑평장사에 오르고, 정중부의 난 때 다른 문신은 모두 화를 입었으나 평소 그의 덕망에 감화한 무신들이 그를 보호하여 화를 면했다. 명종이 즉위하자 중서시랑평장사에 다시 임명되었고 이어 수사공집현전대학사판예부사(守司空集賢殿大學士判禮部事)로 치사했다. 경사에 해박했으며, 불경에도 관심이 깊어 많은 학생과 승려의 자문에 응했다. 왕의 조서를 받들어 이한림집주(李翰林集註)을 편찬했고 유문사실(柳文事實)을 주해했다. 문집에 남도집(南都集)이 있으며 동문선(東文選)에 6수의 시와 45편의 문이 실려 있다. 시호는 문숙(文淑)이다.
  • 홀홀[忽忽]  깃발 따위가 바람에 펄럭이는 소리. 갑작스러운 모양. 빠른 모양. 황홀한 모양. 소홀해서 일을 돌보지 않는 모양. 문득 떠나가는 모양. 실망한 모양. 헤매는 모양. 도는 모양. 명백하지 않은 모양. 잊어버리는 모양. 실의(失意)한 모양. 심신이 불안한 모양. 정신이 얼떨떨하여 분명하지 않은 모양. 조심성이 없고 행동이 매우 가벼움. 소홀하다. 부주의하다. 대수롭지 않다. 서운하다. 허전하다. 어느덧. 어느새. 갑자기. 별안간. 돌연. 잠깐 동안에. 벌써. 순식간에. 문득. 갑작스레.
  • 수긍[誰肯]  어느 누가 ~하겠는가? 누가 즐거이. 누가 기꺼이.
  • 번복[飜覆]  변하는 세태(世態)를 말한 것이다.
  • 번복[翻覆]  두보(杜甫)의 빈교행(貧交行)에 “손 뒤집으면 구름이요 손 엎으면 비로다. 경박한 작태 분분함을 어찌 셀 거나 있으랴. 그대는 못 보았나 관중 포숙의 가난할 때 사귐을, 지금 사람들은 이 도를 흙처럼 버린다네.[翻手作雲覆手雨 紛紛輕薄何須數 君不見管鮑貧時交 此道今人棄如土]”라고 한 데서 온 말로, 이는 곧 세인(世人)들의 교제하는 태도의 반복무상함을 비유한 말이다. <杜少陵詩集 卷2>
  • 북해준[北海樽]  북해(北海)의 술통. 북해(北海)는 후한(後漢) 때 건안칠자(建安七子) 가운데 한 사람으로 북해상(北海相: 북해태수北海太守)을 지낸 공융(孔融)을 가리킨다. 공융은 본디 성품이 너그럽고 거리낌이 없었으며, 선비를 좋아하고 후진(後進)을 교도하기를 좋아하였다. 한직(閑職)으로 물러난 다음에도 빈객(賓客)들이 항상 그의 문전에 가득했던바, 일찍이 탄식하여 말하기를 “좌상에는 빈객이 항상 가득하고, 동이에는 술이 항상 떨어지지만 않으면 나는 근심이 없겠다.[坐上客恒滿 樽中酒不空 吾無憂矣]”라고 하였다. <後漢書 卷70 孔融列傳>
  • 호가[浩歌]  큰소리로 노래하다. 두보(杜甫)의 시 옥화궁(玉華宮)에 “시름이 생겨 풀 깔고 앉아, 큰소리로 노래하니 눈물이 한 줌이네.[憂來藉草坐 浩歌淚盈把]”라고 하였다.
  • 앙옥[仰屋]  망연(茫然)히 대들보를 바라봄. 현실을 타개할 뾰족한 계책이 없는 상황. 누워서 천정의 대들보만 바라본다는 뜻으로 어찌해 볼 도리가 없어 아무 것도 하지 못하고 한숨만 내쉬는 형편을 형용하는 말이다. 후한의 한랑(寒朗)이 벼슬을 버리고 집으로 돌아와서 입으로 말을 하지는 않았으나 천정을 바라보며 남몰래 탄식하였다고 한다. <後漢書 卷41 寒朗列傳>

Leave a Reply

Copyright (c) 2015 by 하늘구경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