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lose

獨笑독소 / 혼자 웃는 이유 / 丁若鏞정약용


有粟無人食[유속무인식]   양식 있는 집은 먹을 사람이 없고

多男必患飢[다남필환기]   자식이 많으면 굶주림이 걱정이네

達官必憃愚[달관필창우]   높은 벼슬아치는 반드시 어리석고

才者無所施[재자무소시]   재주 있는 사람은 쓰일 길이 없네

家室少完福[가실소완복]   모든 복을 두루 갖춘 집은 드물고

至道常陵遲[지도상능지]   지극한 도리는 언제나 쇠퇴하누나

翁嗇子每蕩[옹색자매탕]   아비가 아끼면 자식놈이 탕진하고

婦慧郞必癡[부혜랑필치]   처가 슬기로우면 사내가 어리석네

月滿頻値雲[월만빈치운]   달이 차면 번번이 구름 껴 가리고

花開風誤之[화개풍오지]   꽃이 피면 바람 불어 망쳐 버리네

物物盡如此[물물진여차]   천지만물 세상만사가 이와 같아서

獨笑無人知[독소무인지]   혼자 웃으니 까닭을 아는 이 없네

<獨笑독소 / 혼자 웃다 / 丁若鏞정약용 : 茶山詩文集다산시문집>


  • 정약용[丁若鏞]  조선 후기의 실학자(實學者). 자는 미용(美鏞). 호는 다산(茶山)・사암(俟菴)・여유당(與猶堂)・채산(菜山). 근기(近畿) 남인 가문 출신으로, 정조(正祖) 연간에 문신으로 사환(仕宦)했으나, 청년기에 접했던 서학(西學)으로 인해 장기간 유배생활을 하였다. 그는 이 유배기간 동안 자신의 학문을 더욱 연마해 육경사서(六經四書)에 대한 연구를 비롯해 일표이서(一表二書: 經世遺表경세유표・牧民心書목민심서・欽欽新書흠흠신서) 등 모두 500여 권에 이르는 방대한 저술을 남겼고, 이 저술을 통해서 조선 후기 실학사상을 집대성한 인물로 평가되고 있다.
  • 달관[達官]  높은 관직(官職). 직위가 높은 관리. 고관(高官). 명대(明代), 몽골인으로서 벼슬자리에 오른 사람.
  • 지도[至道]  사람의 지극한 도리. 참다운 길.
  • 능지[陵遲]  구릉이 세월이 지나면 점점 평평해진다는 뜻으로, 처음에는 성하다가 나중에는 쇠퇴함을 이르는 말. 쇠락(衰落). 쇠패(衰敗). 쇠퇴(衰頹). 두보(杜甫)가 적 명부 박제(狄明府博濟)에게 보낸 시에 “대현의 후손이 끝내 능지하다.[大賢之後竟陵遲]”라고 하였는바, 적박제는 두보(杜甫)의 이종(姨從)으로 당 나라 측천무후(則天武后) 때의 명재상인 적인걸(狄仁傑)의 증손인데, 이 시는 당시 그의 가문이 침체하므로 두보가 그를 서글퍼하여 지은 것이다.
  • 능지[陵遲]  완만하게 비탈진 상태나 비탈진 언덕을 이른다. <文子 上仁>・<荀子 宥坐>

Leave a Reply

Copyright (c) 2015 by 하늘구경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