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lose

노초[老艸]~노추[鑪錘]~노추원반[鷺簉鵷班]~노추통첩[露醜通妾]


노초[怒楚]  초나라로 하여금 노하게 하는 것. 반드시 전쟁하게 하는 것이다.

노초[老艸]  일이 조솔(粗率)함을 말한다. 주자의 훈학재규(訓學齋規)에 “무릇 글씨를 씀엔 씀이 잘 되었나 못 되었나 여하는 물을 것이 없고, 더욱이 중요한 것은 반드시 한 붓과 한 획이 엄정하고 분명하게 흘려 갈겨쓰면 안 된다.[寫字未問工拙如何 且要一筆一畫嚴正分明 不可老艸]”라 하였다.

노추[魯鄒]  공자는 노나라 사람이고 맹자는 추나라 사람이므로 대개 공자와 맹자를 뜻한다.

노추[魯鄒]  노나라는 공자가 교화를 편 나라이고, 추나라는 맹자가 교화를 편 나라로, 문풍이 뛰어난 고장을 말한다.

노추[奴酋]  청(淸)나라 태조(太祖) 누르하치(奴兒哈赤)를 가리킨다. 건주(建州) 일대를 통일한 다음 차츰 세력을 넓혀 1616년에 황제의 자리에 올라 국호를 후금(後金)이라 하였으며, 1618년에 여러 여진진(女眞) 부족들이 자신의 부족에 대항하도록 교사한 명나라의 정책에 책임을 묻는 등 일곱 가지의 대한(大恨)을 선포하고 공격하였다.

노추[奴酋]  흉노의 우두머리라는 뜻이다.

노추[老錐]  노고추(老古錐)의 준말로 노고는 존경하는 뜻이고 추는 송곳처럼 예민함을 뜻하는 말로서, 즉 노대 원숙(老大圓熟)함을 의미한다. 불교의 용어로, 노숙(老熟)한 사가(師家)에 대한 경칭(敬稱)으로 쓰인 말인데, 즉 노덕(老德)한 사가(師家)의 선기(禪機)가 예민하여 송곳처럼 날카로움을 추앙해서 이르는 말이다.

노추[鑪捶]  노추(爐錘)와 같은 말로, 화로와 도가니를 가리킨다. 이는 모두 금속을 제련하는 데 쓰이는 도구로, 전하여 우주 자연의 조화(造化)를 주관하는 조물주(造物主)를 비유하는 말로 흔히 쓰인다. 장자(莊子) 대종사(大宗師)에 “무장(無莊)이 그의 아름다움을 잃고, 거량(據梁)이 그의 힘을 잃고, 황제(黃帝)가 그의 앎을 잃은 것은 모두가 노추의 사이에 있을 뿐이다.[夫無莊之失其美, 據梁之失其力, 黄帝之亡其知, 皆在鑪捶之間耳.]”라고 하였다.

노추[鑪錘]  도주(陶鑄)와 같은 뜻이다. 유준(劉峻)의 문(文)에 “雕刻百工 鑪錘萬物”이라고 보인다.

노추원반[鷺簉鵷班]  노추(鷺簉)는 백로가 나란히 날아가는 것을 말하고, 원반(鵷班) 또한 원추새가 질서 정연하게 날아가는 것을 말하는데, 대개 조정의 백관들이 대열을 이루고 있음을 비유하는 말로 쓰였다.

노추지간[鑪捶之間]  풀무와 망치 사이. 곧 천지의 조화를 비유한 표현이다. 鑪는 풀무, 捶는 망치이다.

노추통첩[露醜通妾]  주의(周顗)가 왕도(王導) 등과 함께 기첨(紀瞻)을 방문하였는데, 기첨에게 애첩(愛妾)이 있어 새로운 곡조를 잘했다. 주의는 대중 앞에서 그 첩과 간통하려고 추잡한 물건을 드러내기까지 하면서도 조금도 부끄러운 낯빛이 없었다고 한다. <古今事文類聚 後集 卷16 人倫部 露醜通妾>

Leave a Reply

Copyright (c) 2015 by 하늘구경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