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lose

능운구[凌雲句]~능운대[凌雲臺]~능운부[凌雲賦]


능운구[凌雲句]  한(漢)나라 사마상여(司馬相如)가 지은 대인부(大人賦)를 가리킨다. 그는 일찍이 무제(武帝)를 위해 대인부를 지었는데, 이 글이 하늘 높이 올라 구름을 능멸하는 기상이 있고 천지 사이에서 노니는 듯한 의취가 있다 하여 능운부(凌雲賦)라 부르기도 한다. 후세에 이 말은 문장을 자유로이 구사하고 재기가 비범한 것을 비유하게 되었다. <史記 卷117 司馬相如列傳>

능운대[凌雲臺]  화양구곡 중 제6곡이다. 큰 바위가 시냇가에 우뚝 솟아 그 높이가 구름을 찌를 듯하여 능운대라 한다.

능운부[凌雲賦]  한 무제(漢武帝) 때 사마상여(司馬相如)가 지은 대인부(大人賦)를 가리킨다. 능운(凌雲)은 구름 위에 치솟는다는 뜻으로, 의기(意氣)가 초월함을 의미한다. 사마상여가 일찍이 무제(武帝)를 위해 대인부(大人賦)를 지어 올렸는데 무제가 보고 매우 기뻐하여 “날아서 구름 위로 올라가는 듯한 기운이 있고 천지의 사이에서 노니는 뜻이 있다.[飄飄有凌雲之氣, 似游天地之閒意.]”라고 하였으므로 대인부를 능운부(凌雲賦)라고 부르기도 한다. 이 말은 후세에 문장을 자유로이 구사하고 재기가 비범한 것을 비유하게 되었다. <史記 卷117 司馬相如列傳>

능운부[凌雲賦]  능운(凌雲)은 높이 구름 위로 올라간다는 뜻인데, 지기(志氣)가 초월하거나 필력(筆力)이 굳센 것을 비유한다. 능운부(凌雲賦)는 한(漢)나라 사마상여(司馬相如)의 대인부(大人賦)를 가리키는데, 무제(武帝)가 그 글을 두고 “기분이 들떠 마치 신선이 되어 구름을 타고 올라가서 천지 사이에 노니는 것 같다.”라고 칭찬하여서 붙여진 이름이다. <史記 卷117 司馬相如列傳> 사마상여와 같은 촉(蜀) 지역 출신인 양득의(楊得意)가 무제에게 사마상여의 자허부(子虛賦)를 올린 것이 계기가 되어 사마상여가 문재(文才)를 높이 인정받았는데, 이런 사실을 가지고 왕발(王勃)이 등왕각서(滕王閣序)에서 “양득의를 만나지 못했으니 능운부(凌雲賦)를 어루만지며 애석해 하고[楊意不逢, 撫凌雲而自惜.]”라고 하였다.

Leave a Reply

Copyright (c) 2015 by 하늘구경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