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lose

당경여조[堂慶閭弔]~당계[堂溪]~당계곡[唐鷄曲]~당계오대[唐季五代]


당경[唐坰]  북송(北宋) 때 관리이자 서법가로 자는 임부(林夫)이고 전당(錢塘: 현재의 항주杭州) 사람이다. 음보(蔭補)로 출사하여 진사가 되고 숭문교서(崇文校書)가 되었으나 왕안석(王安石)의 천거를 받은 뒤 사이가 벌어져 지방을 떠돌았다. 신종황제(神宗皇帝) 때의 지간원(知諫院) 당경이 자신을 기용하지 않은 당시 재상 왕안석(王安石)에게 앙심을 품고 전상(殿上)에서 탄핵하니, 왕안석이 머뭇거리며 어전으로 나오지 못하였다. 당경이 꾸짖어 말하기를 “전하 앞에서도 이러할진대 밖에 있을 때를 알 수 있다.”라고 하며, 60조목에 걸친 왕안석 탄핵문을 큰 소리로 읽었다. <宋史 卷327 唐坰列傳>

당경여조[堂慶閭弔]  순자(荀子) 대략(大略)에 “경하하는 사람이 집에 와 있을 때, 조문하는 사람이 마을 어귀에 와 있다.[慶者在堂 弔者在閭]”라고 한 데서 온 말로, 인생의 화복은 번갈아 찾아온다는 뜻이다.

당계[唐鷄]  닭의 한 종류로, 몸이 작고 다리가 짧으며 볏이 크고 꽁지는 위로 뻗쳐 있다.

당계[棠谿]  지금의 하남성(河南省) 무양현(舞陽縣) 서남쪽에 있으며 당계(堂溪)로 표기하기도 한다. 춘추전국 때 질 좋은 무기가 생산되었다고 한다.

당계[堂溪]  전국 시대 한(韓)나라의 당계(堂谿) 지방에서 생산되던 명검(名劍)을 말한다. 태평어람 권344에 “당계를 잡고 쑥을 떨치고, 간장을 잡고 고기를 자른다.[執堂溪以拂蓬, 秉干將以割肉.]”라고 하였다.

당계[堂階]  대청 앞에 있는 섬돌을 가리킨다. 두보(杜甫)의 시 희간정광문건겸정소사업원명(戱簡鄭廣文虔兼呈蘇司業源明)에 “관청에 도착한 광문이, 청당의 섬돌 밑에 말을 매었네.[廣文到官舍 繫馬堂階下]”라고 하였다.

당계곡[唐鷄曲]  고려가요 중의 효자 문충(文忠)이 지은 유명한 목계가(木鷄歌), 곧 오관산곡(五冠山曲)이다. 고려사(高麗史) 오관산조(五冠山條)에 “오관산은 효자 문충이 지은 것이다. 문충이 오관산 아래에 살면서 어머니를 지극한 효성으로 섬겼다. 사는 곳이 서울과 30리 떨어졌으나 어머니 봉양을 위하여 벼슬하였다. 아침에 나갔다가 저녁에 돌아와서 조금도 혼정신성(昏定晨省)을 게을리 하지 않았다. 어머니의 늙음을 탄식하여 이 노래를 지었다. 익재(益齋) 이제현(李齊賢)이 이를 한역하여 시로 짓기를 ‘나무를 깎아서 당닭을 만들어, 젓가락으로 집어다 벽에 살게 하네. 이 새가 꼬끼오 울며 시간을 알릴 제야, 어머님 얼굴 비로소 기우는 해와 같으리.[木頭雕作小唐鷄 筯子拈來壁上栖 此鳥膠膠報時節 慈顔始似日平西]’라고 하였다.”고 하였다. <高麗史 卷71 五冠山>

당계오대지란[唐季五代之亂]  잔당오대(殘唐五代)의 난(亂)을 가리킨다. 당조(唐朝) 후기에 각로(各路)의 절도사(節度使)들이 병권(兵權)을 쥐고 발호(跋扈)하였으므로 중앙정부는 그들을 제재할 능력을 이미 잃었고, 당조(唐朝)는 최종적으로 병권을 장악한 주온(朱溫)의 손에 망하였다. 주온(朱溫)은 천우(天祐) 4년(907)에 당조(唐朝)의 애제(哀帝) 이축(李柷)을 폐하고 자립하여 제(帝)라 칭하며 국호를 양(梁)이라 하였는데, 사가(史家)가 이를 후양(後梁)이라 칭하였다. 이후로 이어서 후당(後唐), 후진(後晉), 후한(後漢), 후주(後周)가 출현하였는데, 사가(史家)가 이를 오대(五代)라 칭하였다. 따라서 오(吳), 남당(南唐), 오월(吳越), 초(楚), 민(閩), 남한(南漢), 전촉(前蜀), 후촉(後蜀), 형남(荊南), 북한(北漢) 등이 출현하였는데, 사가(史家)가 이를 십국(十國)이라 칭하였다. 이는 중국역사에서 오대십국(五代十國)의 분쟁으로 진입하는 시대였고, 이들 나라가 출현함에 따라 혼란 국면이 지속되다가 960년 송(宋) 태조(太祖) 조광윤(趙匡胤)이 송(宋)나라를 창건한 뒤에 점차로 각지의 분열세력을 소멸시켜 가 979년 마지막으로 북한(北漢)을 멸망시키니, 당(唐)나라 말기의 오대십국(五代十國)의 분쟁 국면이 종결되었다.

Leave a Reply

Copyright (c) 2015 by 하늘구경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