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lose

詠柳영류 / 버드나무를 읊다 / 賀知章하지장


碧玉妝成一樹高[벽옥장성일수고]   벽옥으로 치장한 높다란 나무

萬條垂下綠絲絛[만조수하녹사조]   가지가지 초록 끈 늘어뜨렸네

不知細葉誰裁出[부지세엽수재출]   가느단 잎새들 누가 마라냈나

二月春風似剪刀[이월춘풍사전도]   이월의 봄바람은 가위 같아라

<영류 / 버드나무를 읊다 / 賀知章하지장>

※ 제목이 유지사(柳枝詞)라고 된 본도 있다.


  • 하지장[賀知章]  당(唐) 나라 때의 시인이자 서법가로 월주(越州) 영흥(永興: 지금의 折江省절강성 蘇山縣소산현) 사람이다. 성격이 활달하고 문장에 능했으며 글씨 잘 쓰고 술을 좋아했다. 자는 계진(季眞), 또는 유마(維摩)이고 호는 석창(石窗)에 이어 만년에 사명광객(四明狂客)이라는 만호(晩號) 썼다. 비서감(秘書監)을 지낸 그를 사람들이 비서외감(秘書外監)이라고도 불렀다. 무측천(武則天) 증성(證聖) 초(695)에 진사가 되어 여러 차례 예부시랑(禮部侍郞) 겸 집현원학사(集賢院學士)를 역임하였다. 젊어서부터 시명(詩名)이 있어 이백(李白)·장욱(張旭) 등과 시주를 즐기기도 했다. 장욱(張旭), 장약허(張若虛), 포융(包融) 등과 이름을 나란히 하며 오중사사(吳中四士)로 불렸으며, 이백(李白), 맹호연(孟浩然), 왕유(王維) 등과 선종십우(仙宗十友)로도 불렸다. 성품이 광달하고 담론과 소학(笑謔)을 즐겼다. 만년에는 성품이 더욱 방탄(放誕)해져서 스스로 사명광객(四明狂客)이라 호칭하고 술을 즐겨 마시어 풍류를 즐겼다. 두보(杜甫)의 음중팔선가(飮中八僊歌)에 “하지장이 술 취해 말 타는 모습이 흔들거려 마치 배를 탄듯하네[知章騎馬似乘船]”라고 묘사되기도 하였으며, 이백(李白)의 시 대주억하감(對酒憶賀監)에 “사명에 미친 나그네 있었으니, 풍류 넘치는 하계진이로다. 장안에서 한 번 서로 만나서는, 나를 적선인이라 불렀었지. 그 옛날 술을 그리도 좋아하더니, 어느새 솔 밑의 티끌이 되었구려. 금 거북으로 술 바꿔 마시던 일, 생각만 하면 눈물이 건을 적시네.[四明有狂客 風流賀季眞 長安一相見 呼我謫仙人 昔好杯中物 翻爲松下塵 金龜換酒處 却憶淚沾巾]”라고 하였다. 천보(天寶) 3년(744) 이임보(李林甫)와 양국충(楊國忠)이 정권을 천단하자 하지장(賀知章)이 상소를 올려 도사(道士)가 되기를 청하니, 당 현종(唐玄宗)이 조서를 내려 경호(鏡湖)의 섬계(剡溪) 한 굽이를 하사해 주었고, 모든 동료들이 조도제를 지내고 임금이 어제시(御製詩)를 지어 전송하였다는 고사가 고금사문유취(古今事文類聚) 전집 권32 퇴은부(退隱部) 어시송행(御詩送行)에 실려 있다. 전리(田里)로 돌아와 자기 집을 천추관(千秋觀)으로 꾸미고 경호(鏡湖)에 은거했다. 86세에 세상을 뜨자 숙종(肅宗)이 예부상서(禮部尙書)를 추증했다. 구당서(舊唐書) 문원전(文苑傳)과 신당서(新唐書) 은일전(隱逸傳)에 전이 있으며, 작품은 대다수가 산실되었으나 전당시(全唐詩)에 그의 시 19수가 전한다.
  • 벽옥[碧玉]  푸른빛의 옥(玉)의 일종이다. 옥은 그 안에 섞인 불순물에 따라 녹색·붉은색·누런 녹색 등으로 색깔이 달라지는데, 벽옥은 녹색을 띤 것이다.
  • 전도[剪刀]  가위. 옷감, 종이, 머리털 따위를 자르는 기구(器具). 두 날을 교차시켜 종이나 옷감 따위를 자르는 기구.
  • 장성[妝成]  화장을 마치다. 치장을 마치다.

Leave a Reply

Copyright (c) 2015 by 하늘구경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