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연지[賈捐之] 자가 군방(君房)으로, 한(漢) 나라 가의(賈誼)의 증손이다. 주애(珠崖)현이 반란을 일으켰을 때 이의 정벌을 그만 둘 것을 주장하였다. <漢書 賈捐之傳>
가영부송[歌詠賦頌] 상서(尙書) 순전(舜典)에서 “시(詩)는 뜻을 말한 것이고, 가(歌)는 말을 길게 늘인 것이다.”라 하였다. 문심조룡(文心雕龍) 명시(明詩)에서는 “사람은 태어나면서 뜻을 갖게 되고, 이것을 노래가 담는다.”라 했다. 설문해자(說文解字) 흠부(欠部)에서 “가(歌)는 노래한다는 뜻이다.”라 했다. 서개(徐鍇)의 계전(繫傳)에서 “가(歌)란 그 소리를 길게 끌어서 읊는 것이다.”라 했다. 옥편(玉篇) 언부(言部)에서는 “영(詠)은 길게 말하는 것이요, 가(歌)이다.”라 했다. 문심조룡(文心雕龍) 전부(詮賦)에서 “부(賦)란 펼친다는 뜻으로, 무늬를 펼쳐 글을 지어서 사물을 구체화하고 뜻을 써내는 것이다.”라고 했다. 또 송찬(頌讚)에서 “송(頌)은 형용한다는 뜻으로 성덕을 찬미하여 드러난 모습을 서술한 것이다.”라 했다.
가오이열[歌嗚耳熱] 한(漢)나라 양운(楊惲)의 보손회종서(報孫會宗書)에 “술을 마신 뒤에 귀가 뜨겁게 달아오르면 하늘을 우러러보고 부를 두드리며 ‘오오’ 하고 소리친다.[酒後耳熱 仰天撫缶 而呼嗚嗚]” 하였다. 부(缶)는 우리말로 장군이라 부르는 용기인데 진(秦) 지방 사람들은 이것을 두드려 악기로 삼았다. ‘오오’는 진나라 사람들이 놀면서 부르짖는 소리이다.
가옥적혜봉응[架玉笛兮鳳膺] 황제(黃帝)가 영륜(伶倫)을 시켜 대를 베어 적(笛)을 만들었는데, 봉(鳳)의 울음소리가 났다고 한다.
가올어[嘉兀魚] 가오리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