곡거[鵠擧] 황곡(黃鵠)은 새 이름으로 한서(漢書) 장량전(張良傳)에 “홍곡(鴻鵠)이 높이 날다 단번에 천리를 간다.[鴻鵠高飛 一擧千里]” 하였다. 그래서 득의한 사람에게 비유하는 말로 쓰인다.
곡거지가[鵠擧之歌] 곡거의 노래는 한 고제(漢高帝)의 태자에 관한 홍곡가(鴻鵠歌)의 고사이다.
곡격견마[轂擊肩摩] 수레의 바퀴통이 부딪치고 어깨가 서로 닿는다는 뜻으로 인파가 붐비는 번화가의 모습을 이르는 말이다.
곡겹[曲袷] 굽어서 방형(方形)의 모양으로 된 옷깃을 말한다. <禮記 深衣>
곡경[曲徑] 꼬불꼬불한 길을 이른다.
곡경방혜[曲逕旁蹊] 바른 길을 밟지 않고 굽은 길을 간다는 뜻인데, 남에게 기대어 출세하기를 도모함을 가리키는 말이다.
곡고과화[曲高寡和] 옛날 초나라의 가곡 중에 백설(白雪), 양춘(陽春) 두 가곡은 곡조가 매우 고상하여 창화(唱和)하는 사람이 아주 드물었다는 데서, 전하여 창화할 이가 적다는 것은 곧 뛰어난 시가를 뜻한다. 송옥(宋玉)의 대초왕문(對楚王問)에 “영중에서 노래하는 나그네가 있어 맨 처음 하리곡, 파인곡을 노래하자, 국중에서 그것을 이어 창화하는 자가 수천 인이었고, 양아곡, 해로곡을 노래하자, 국중에서 그것을 이어 창화하는 자는 수백 인이었고, 양춘곡, 백설곡을 노래하자, 국중에서 그것을 이어 노래하는 자는 수십 인에 불과했으니,……이는 곧 곡조가 고상할수록 창화하는 자가 더욱 적기 때문이다.[客有歌于郢中者 其始曰下里巴人 國中屬而和者數千人 其爲陽阿薤露 國中屬而和者數百人 其爲陽春白雪 國中屬而和者不過數十人……是其曲彌高 其和彌寡]”라고 한 데서 온 말이다. 곡조가 높을수록 화답하는 사람이 적다는 뜻으로, 전하여 재능이 뛰어난 사람일수록 그를 추종하는 사람이 적다는 말이다.
곡고화과[曲高和寡] 곡이 높으면 화답하는 사람이 적다. 곡조가 높을수록 가락을 맞추며 따라 부를 수 있는 사람이 적어진다. 사람의 재능이 너무 높으면 따르는 무리들이 더욱 적어지는 것을 말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