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lose

개자불배[介者不拜]~개자주자[揩字注字]~개자치화[介者拸畫]


개자[介子]  서자(庶子)로, 장자(長子)를 제외한 나머지 아들들을 말한다. 서자라고 하지 않고 개자라고 하는 것은, 서자는 비천한 자에 대해서 부르는 칭호이고, 개자는 부이(副貳)의 뜻인바, 역시 귀한 이를 귀하게 여기는 도리에서 이렇게 칭하는 것이다.

개자[介子]  춘추 시대 진 문공(晉文公)의 신하인 개자추(介子推)이다. 문공(文公)을 따라 19년 동안 망명하며 온갖 고난을 겪고 귀국했다. 당시의 신하들 가운데 유독 개자추만 봉록(封祿)을 받지 못하자 그것이 부끄러워 면산(緜山)에 숨어들었다. 뒤늦게 문공이 자신의 과오를 깨닫고 개자추를 불렀으나 나오지 않았다. 이에 그를 면산에서 나오게 하려고 불을 질렀으나, 끝내 나오지 않고 타 죽었다. 이후로 개자추가 타 죽은 날을 한식(寒食)이라고 하며, 그를 애도하여 불을 피우지 않았다. 형초세시기(荊楚歲時記)에 “개자추가 3월 5일에 불에 타서 죽으니, 온 나라 사람들이 그를 애도하여 매년 3월이면 아궁이에 불을 지피지 않았다. 이를 금연(禁煙)이라고 하였는데, 어길 경우에는 우박이 내려 전답의 작물을 상하였다.”라고 하였다.

개자불배 병거불식[介者不拜 兵車不式]  예기(禮記) 곡례 상(曲禮 上)의 “갑옷 입은 자가 절하지 않는 것은 절을 할 때 좌배(蓌拜: 절함에 방해됨)가 되기 때문이다.[介者不拜 爲其拜而蓌拜]”라는 내용과 “병거(兵車)에서는 식(式: 경례)을 하지 않으며, 무거(武車)에는 깃발을 늘어뜨리고 덕거(德車)에는 깃발을 묶어둔다.[兵車不式 武車綏旌 德車結旌]”라는 내용을 각각 인용한 것이다.

개자주자[揩字注字]  개자(揩字)는 글자를 지운 곳이고, 주자(注字)는 글자를 첨가한 곳이다.

개자추[介子推]  춘추 시대 진(晉)나라 사람으로 개지추(介之推)라고도 한다. 헌공(獻公)의 아들 문공(文公) 중이(重耳)가 국난을 피해 19년 동안 국외로 떠돌 때 고생을 함께하며 그를 도왔다. 문공이 진나라로 돌아가서 왕위에 오른 뒤 역경을 함께한 신하들을 시상할 때 개자추를 잊고 빠뜨리자, 개자추가 어머니와 함께 면상(緜上)의 산속으로 들어가 숨어 살며 평생 나타나지 않았다. 뒤에 문공이 자신의 잘못을 깨닫고서 면상을 둘러싼 땅을 모두 개자추의 봉지(封地)로 삼았다. <史記 卷39 晉世家> 다른 기록에 의하면, 이때 문공이 개자추를 찾기 위해 면상의 산에 불을 질렀으나 개자추가 끝내 산에서 나오지 않고 나무를 끌어안은 채 불에 타 죽었는데, 문공이 이를 가련히 여겨 개자추가 죽은 날에 불을 피우지 못하도록 한 것이 한식(寒食)의 유래가 되었다고 한다. <古今事文類聚前集 卷8 禁火周制>

개자추[介子推]  춘추 시대 진(晉)나라 사람으로, 일찍이 진 문공(晉文公)의 망명 길을 따라서 19년 동안 망명 생활을 함께 마치고 돌아왔는데, 문공이 즉위하고 나서는 그를 외면해 버리므로, 그가 분개하여 마침내 자기 어머니와 함께 면산(綿山)에 들어가 은거하였다. 문공이 뒤에 그 사실을 깨닫고는 그를 찾아보았으나 찾을 수가 없으므로, 그를 면산에서 나오게 하기 위하여 면산에 불을 질렀는데, 그는 산에서 끝내 나오지 않고 그대로 불에 타 죽었다. 이 일로 인하여 후인(後人)들이 그의 불우함을 불쌍히 여겨 그가 죽은 날을 한식(寒食) 명절로 정하여 화식(火食)을 금하며 그를 애도하고 있는바, 그가 죽은 날은 바로 동지(冬至)로부터 105, 6일 후로 거센 비바람이 몰아치는, 즉 지금의 음력 2월 25일경에 해당한다. 옛 풍속에 이날은 대맥죽(大麥粥), 행인죽(杏仁粥) 같은 것들을 미리 쑤어서 식혀 두었다가 먹었다고 한다. <春秋左氏傳 僖公24年> <史記 卷39 晉世家>

개자치화[介者拸畫]  장자(莊子) 잡편(雜篇) 경상초(庚桑楚)에 “형벌로 다리를 잘린 사람이 화장도구를 버리는 것은 용모에 대한 사람들의 칭찬이나 헐뜯음을 도외시하기 때문이다.[介者拸畫 外非譽也]”라고 하였다. 개자(介者)는 형벌을 받아 다리를 잘린 사람이고[介者刖人也], 치화(拸畫)은 화장도구를 버린다는 뜻이다.

Leave a Reply

Copyright (c) 2015 by 하늘구경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