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일하일[冬日夏日], 동임[洞任], 동임관[同任官], 동자[童子], 동자[瞳子], 동자[董子]
동일하일[冬日夏日] 사랑스런 해는 곧 겨울날의 다스운 태양을 말하고, 두려운 해는 곧 여름날의 뜨거운 태양을 이른다. 춘추 시대 노국(潞國)의 대부(大夫) 풍서(酆舒)가…
동일하일[冬日夏日] 사랑스런 해는 곧 겨울날의 다스운 태양을 말하고, 두려운 해는 곧 여름날의 뜨거운 태양을 이른다. 춘추 시대 노국(潞國)의 대부(大夫) 풍서(酆舒)가…
동일신화[同一神化] 동일(同一)은 인동일시(仁同一視)의 준말로, 일시동인(一視同仁)과 같다. 신화는 성인이 이르는 곳마다 백성들 모두가 감화되어 영원히 그 정신의 영향을 받게 되는, 이른바…
동인협공[同寅協恭], 동일[冬日], 동일가애[冬日可愛], 동일류휘[冬日流輝], 동일방[東一房], 동일방공사[東一房公事], 동일방장의[東一房掌議]
평민이라도 기꺼이 덕을 심고 은혜를 베풀면 이것이 곧 작위 없는 재상인 것이요 사대부라도 헛되이 권세를 탐하고 은총을 사면 결국은 작위…
동인우환[同人于懽], 동인이은[銅印吏隱], 동인이택지조[同人麗澤之助], 동인죽부[銅印竹符], 동인증익[動忍增益], 동인지문[東人之文], 동인지사[同人之思], 동인찰[銅印札]
동인[同人], 동인[東人], 동인[董因], 동인[佟人], 동인거상[銅人巨象], 동인경[銅人經], 동인괘[同人卦], 동인도[銅人圖], 동인시화[東人詩話], 동인우야[同人于野]
동인[同寅] 군주와 신하가 함께 공경하여 정사(政事)에 힘쓴다는 뜻으로, 서경(書經) 고요모(皐陶謨)에 “함께 공경하고 서로 공손하다.[同寅協恭]”라고 하였다. 동인(同寅)과 협공(協恭)은 같은 뜻으로 함께…
동이천[動以天] 동(動)하기를 자연으로 함. 주역(周易) 무망괘(无妄卦)의 무망(无妄)은 지성(至誠)하여 사위(邪僞)가 없는 것을 이르는데, 지성은 곧 천도(天道)이므로, 무망괘의 전(傳)에 이르기를 “천리로써 동하는…
동이습지백분여[童而習之白紛如], 동이식생[動以殖生], 동이이[同而異], 동이이천행[動而以天行], 동이지[動而持], 동이지미옥[東夷之美玉], 동이지자[東夷之子]
동이부득이지위덕[動以不得已之謂德] 어쩔 수 없는 뒤에 움직이는 것을 덕이라 함. 스스로 나서는 것이 아니라 그만둘 수 없는 상황이 된 뒤에야 마지못해…
동이[同異], 동이[東暆], 동이[東夷], 동이가[董二哥], 동이고[同異攷], 동이루[東夷陋], 동이만계[動以萬計], 동이만수[動以萬數], 동이무동 정이무정[動而無動 靜而無靜]
기녀라도 늘그막에 한 남자를 따르면 일생의 기녀질도 문제될 것이 없고 정녀라도 늘그막에 정조를 잃으면 반평생의 절개가 헛것이 된다. 속담에 이르기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