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lose

개유불망[蓋帷不忘]~개유지은[蓋帷之恩]~개이부달[開而不達]


개유[蓋帷]  공신이 타는 수레에 휘장을 덮도록 하는 특별한 우대를 뜻한다.

개유[盖帷]  공자가 말하기를 “헌 일산[敝蓋]를 버리지 않음은 죽은 개를 묻어 주기 위함이요, 헌 장막[敝帷]를 버리지 않음은 죽은 말[馬]을 묻어 주기 위함이다.”라고 하였다.

개유기[皆由己]  모든 일이 하는 그대로 결과가 나타남. 유자(孺子)가 노래하기를 “창랑수 맑으면 내 갓끈을 씻고, 창랑수 흐리면 내 발을 씻으리.”라 했는데 공자(孔子)가 듣고 이르기를 “소자들아 들으라. 맑기에 갓끈을 씻고 흐리기에 발을 씻는다니 그 물은 제 할 탓 아니겠느냐.”라 하였다고 한다. <孟子 離屢 上>

개유대[蓋有待]  송(宋) 나라 구양수(歐陽脩)의 상강천표(瀧岡阡表)에 “아, 나의 황고이신 숭공을 상강에 장사 지낸 지 60년 만에 아들인 내가 비로소 묘표를 세울 수 있게 되었으니, 이것은 감히 늦추려고 해서가 아니요, 대개 오늘날이 있기까지 기다린 것이다.[嗚呼 惟我皇考崇公 卜吉於瀧岡之六十年 其子脩始克表於其阡 非敢緩也 蓋有待也]”라는 말이 나온다.

개유불망[蓋帷不忘]  견마(犬馬)도 사람에게 공로가 있는 것이기 때문에, 공자가 옛 말을 인용하여 “해진 휘장[敝帷]을 버리지 않는 것은 말[馬]을 묻기 위함이요, 해진 수레의 차일[敝蓋]을 버리지 않는 것은 개[犬]를 묻기 위해서라고 했다.” 한 데서 온 말로, 은혜가 하찮은 미물에까지 미침을 뜻한다. <禮記 檀弓下>

개유장유[皆有長幼]  모두 장유(長幼)가 있다. 곧 여러 사람이 모이면 연령의 차이가 나기 때문에 장유 관계가 성립할 수밖에 없다는 뜻이다.

개유지은[蓋帷之恩]  휘장으로 덮어 준다는 것은 죽은 개의 시신을 해진 휘장으로 덮어 땅에 묻어 줌을 이른다. 공자(孔子)가 기르던 개가 죽자, 공자가 자공(子貢)에게 이것을 묻게 하고 이르기를 “내가 들으니 ‘해진 휘장을 버리지 않았다가 개가 죽으면 덮어 준다.’ 하였는데, 나는 가난하여 덮어 줄 만한 휘장이 없으니, 헌 자리로 덮어 주어 죽은 개의 머리가 땅에 닿지 않게 하라.” 하였다. <禮記 檀弓下>❍ 개이경복[介爾景福] 시경(詩經) 기취(旣醉) 1장에 “이미 술에 취하고 이미 덕에 배부르니 군자는 만년토록 당신의 큰 복을 크게 받으리라.[旣醉以酒 旣飽以德 君子萬年 介爾景福]”라고 한 구절에서 인용한 것이다.

개이부달[開而不達]  이는 “君子之敎喩也……開而不達”라고 보이는데, 군자의 교육 방법을 말한 것으로 군자는 일의 단서를 열어 보여 줄 뿐이요. 학생을 통달시키려고는 하지 않는다는 뜻이다.

개인[開印]  연말에 사무를 마무리하고 넣어 둔 관청의 인신(印信)을 연초에 다시 사무를 시작하면서 열어 문안(文案)에 찍는 일로, 신년의 시무(始務)를 위해 관인을 꺼내는 것을 말한다. 청나라 제도에는 각 관서의 신년 시무 일시를 흠천감(欽天監)의 택일에 따라 정월 21일 묘시(卯時)로 하였다고 한다. <淸會典事例 欽天監 職掌>

개인[開印]  인궤를 열고 인을 찍음. 관인(官印)을 맡아 사무(事務)를 주장(主掌)하는 관원(官員)이 관아(官衙)에 나아가, 어제 또는 지난해에 집무(執務)를 마치고 인신(印信)을 간수하여 두었던 인궤(印櫃)를 열고 집무를 개시한다는 뜻이다.

Leave a Reply

Copyright (c) 2015 by 하늘구경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