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lose

곡돌난액[曲堗爛額]~곡돌사신[曲突徙薪]~곡두[鵠頭]


곡돌[曲突]  곡돌사신(曲突徙薪)의 준말로, 선견지명을 발휘하여 화를 미연에 방지하는 것을 말한다. 전국 시대 제(齊) 나라 순우곤(淳于騉)이 옆집의 굴뚝이 곧게 뻗어 장작더미 옆으로 나 있는 것을 보고는, 화재의 위험이 있다고 경고하며 굴뚝을 구부리고 장작을 옮기도록[曲突徙薪] 충고하였는데, 그 말을 듣지 않다가 과연 집을 태웠던 고사가 있다. <漢書 霍光傳>

곡돌난액[曲堗爛額]  곡돌은 화재를 예방하기 위해 굴뚝을 굽게 내는 것을 말하고, 난액(爛額)은 불을 끄다가 이마를 데는 것을 말한다. 한서(漢書) 곽광전(霍光傳)에 의하면, 한 나그네가 주인집의 굴뚝이 곧게 나고 바로 그 곁에 땔나무가 쌓여 있는 것을 보고는, 주인에게 화재가 날 수 있으니 굴뚝을 굽게 내고 땔나무를 먼 데로 옮기라고 권했으나, 주인은 대꾸도 하지 않았다가, 과연 화재가 났다. 그러자 이웃 사람들이 몰려와서 다행히 불을 꺼주었는데, 주인은 감사의 보답으로 주연(酒宴)을 크게 베풀고서 이마 덴 사람을 가장 윗줄에 앉히고 나머지는 각각 공에 따라 차례로 앉히면서, 굴뚝을 굽게 내라고 말한 사람은 아예 거론하지도 않았다는 고사에서 온 말이다.

곡돌모[曲突謨]  곡돌은 굴뚝의 방향을 굽혀 다른 쪽으로 돌린다는 뜻이다. 전국시대 제(齊) 나라의 순우곤(淳于騉)이 이웃사람의 굴뚝이 위로 똑바르게 세워져 있고 그 곁에 섶나무가 쌓여 있는 것을 보고는 굴뚝을 굽혀 다른 쪽으로 돌리고 섶나무를 멀리 옮기라고 충고하였으나, 이웃사람은 그 말을 듣지 않다가 결국 불이 나고 말았다는 데서 나온 것으로, 장래에 있을 재앙을 미리 대비하는 계책을 뜻한다.

곡돌사신[曲突徙薪]  굴뚝을 고쳐 굽게 만들고 땔나무를 멀리 옮겨 놓는다는 뜻인데, 옛날에 한 나그네가 주인집의 굴뚝이 곧게 나 있고 땔나무가 바로 그 곁에 쌓여 있는 것을 보고는 주인에게 말하기를 “굴뚝을 고쳐 굽게 만들고 땔나무를 멀리 옮겨 놓아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곧 화재를 당하게 될 것이다.”라고 했다. 그러나 주인은 전혀 대꾸도 하지 않다가, 이윽고 과연 그 집에 화재가 났는데, 마침 이웃 사람들의 도움으로 불을 다 끄고 나서는 주인이 소를 잡고 술을 마련하여 불 끄느라 수고한 사람들에게 감사의 뜻을 폈던바, 불을 끄느라 ‘머리를 태우고 이마를 덴[焦頭爛額초두난액]’ 사람을 가장 공이 크다 하여 높은 자리에 앉히고, 그 나머지도 공의 고하(高下)에 따라 각각 자리에 앉혔으되, 그 맨 처음에 ‘굴뚝을 굽게 내고 땔나무를 멀리 옮기라’고 말해 준 사람에 대해서는 아예 거론도 하지 않았다는 고사에서 온 말로, 본말이 전도된 일이나, 또는 재앙을 미연에 방지하지 못하는 일의 비유로 쓰인다.

곡돌사신[曲突徙薪]  옛날에 순우곤(淳于髡)이라는 사람이 이웃집에 가서 아궁이가 곧게 되어 있고 그 곁에 섶을 쌓아 놓은 것을 보고는 불이 날 염려가 있다고 하면서 아궁이를 굽게 만들고 섶을 치우라고 하였는데, 이웃집 사람이 그 말을 듣지 않았다가 마침내 화재를 당하였다. 그때 이웃집 사람이 와서는 머리카락이 타고 이마가 그슬리면서 불을 꺼 겨우 불길을 잡았다. 그러자 그 집 주인이 고마워하면서 술과 음식을 마련하여 잔치를 베풀었는데, 불을 끈 사람만 초청하고 순우곤은 초청하지 않았다. 그러자 식자(識者)가 그것을 보고는 근본은 모르고 말단만 안다고 기롱하였다. <史記 卷126 滑稽列傳 淳于髡>

곡돌사신[曲突徙薪]  한서(漢書) 권68 곽광전(霍光傳)에 “아궁이를 돌리고 섶을 옮겨 놓으라고 한 자에게는 은택이 없고, 머리를 그슬리고 이마를 데인 자를 윗자리에 앉혔다.[曲突徙薪亡恩澤 燋頭爛額爲上客]”고 하였다. 아궁이와 섶이 너무 가까이 있어서 화재의 위험이 있음을 안 어떤 손님이 주인에게 “아궁이 위치를 돌리고 섶을 멀리 옮겨 놓으라.”라고 충고했는데도, 주인이 말을 듣지 않다가 화재가 발생하였는데, 불을 끈 뒤에는, 허겁지겁 뛰어다니며 불을 끄느라 애를 쓴 자들에게 술과 고기를 마련해 대접하면서, 이전에 미리 예방할 것을 충고한 사람에게는 아무런 대접이 없었다는 것이다.

곡돌사신무은택 초두난액위상객[曲突徙薪無恩澤 燋頭爛額爲上客]  화(禍)의 근원을 예견하고 이를 막을 계책을 말해 준 자는 은택이 없고, 화가 일어난 뒤에 수습하느라 수고한 자만 우대함을 이른다. 곡돌사신(曲突徙薪). 보상초두(報賞燋頭). 곡돌불견빈(曲突不見賓).

곡두[鵠頭]  본디 서체(書體)의 이름인데, 진(晉) 나라 때 왕문도(王文度)에게 이 곡두서(鵠頭書)체로 쓴 조판(詔板)을 내렸던 고사에서, 전하여 임금의 조서(詔書)를 가리킨다. 한대(漢代) 척일(尺一)의 문서는 형태가 고니의 머리와 같았기 때문에 곡두서(鵠頭書)라고 불리었다.

Leave a Reply

Copyright (c) 2015 by 하늘구경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