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lose

공자규[公子糾]~난성이패[難成易敗]~공자동주[孔子東周]


공자규[公子糾]  공자(公子) 규(糾)와 제(齊)나라 환공(桓公)은 모두 춘추전국 시대 제(齊)나라 양공(襄公)의 아우이자 희공(僖公)의 아들이다. 양공이 사람을 함부로 죽이자, 그의 아우들이 화를 입을까 두려워, 공자 규는 노나라로 도망가고 제나라 환공은 거(莒)로 도망갔다. 제나라 사람이 무지(無知)를 죽이자, 고국(高國)이 거(莒)에 있는 환공을 은밀히 불렀는데, 노나라 역시 군사를 동원하여 공자 규를 보냈다. 환공이 먼저 제나라에 도착하여 즉위한 다음 노나라에 편지를 보내니, 노나라 사람이 생독(笙瀆)에서 공자 규를 죽이고 말았다. <左傳 莊公 8년조>

공자규[公子糾]  제(齊)나라 환공(桓公)의 형이고, 양공(襄公)의 동생이고, 희공(僖公)의 아들이다. 양공(襄公) 때 제나라에 내란이 일어나 규(糾)는 관중(管仲)과 소홀(召忽)의 호위를 받고 동생 소백(小白, 나중의 桓公환공)은 포숙아(鮑叔牙)의 호위를 받아 다른 나라로 도망쳤는데 양공이 죽은 뒤 소백이 먼저 귀국하여 왕위에 올라 규를 찾아내어 죽여버렸다. 이때 규를 모시고 있던 두 사람 가운데 소홀은 규를 따라 자살하고 관중은 죽지 않고 살아 있다가 나중에 절친한 친구인 포숙아에 의하여 환공에게 천거되어 재상이 되었다.

공자난성이이패 시자난득이이실[功者難成而易敗 時者難得而易失]  공(功)은 이루기는 어렵고 무너지기는 쉬우며 때는 얻기는 어렵고 잃기는 쉽다는 뜻으로, 성공하기는 어렵고 실패하기는 쉬우며 좋은 기회는 다시 얻기 어려움을 이른다.

공자달[公子達]  노(魯)나라 대부이다.

공자동주[孔子東周]  동주는 곧 동쪽 노(魯)나라에 주(周)나라의 도를 일으키겠다는 뜻으로, 계씨(季氏)의 가신(家臣)인 공산불요(公山弗擾)가 비(費)를 가지고 배반하여 공자를 불렀을 때 공자가 가려고 하자, 자로(子路)가 하필 공산씨(公山氏)에게 갈 것이 있느냐고 못마땅하게 여기므로, 공자가 이르기를 “나를 부르는 자가 어찌 공연히 불렀겠는가. 만일 나를 써주는 이만 있으면 나는 동주를 만들 것이다.[夫召我者 而豈徒哉 如有用我者 吾其爲東周乎]”라고 한 데서 온 말이다. <論語 陽貨>

공자련[公子戀]  공자(公子)는 진천(秦川)의 귀공자(貴公子)였던 왕찬(王粲)을 가리킨다. 왕찬이 한(漢) 나라 말에 난리를 피하여 형주(荊州)의 유표(劉表)에게 가서 의지해 있으면서 누각에 올라가 등루부(登樓賦)를 읊어 시름을 달래었는데, 두보의 시 ‘지우(地隅)’에 “상란 당한 진천의 공자요, 슬퍼하는 초 나라 대부로다.[喪亂秦公子 悲涼楚大夫]”라고 하였다.

Leave a Reply

Copyright (c) 2015 by 하늘구경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