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lose

권도[權度]~권도경도[權道經道]~권독종일[券讀終日]~권록[圈錄]


권도[權度]  권(權)은 경중(輕重)을 재는 저울[衡]이요, 도(度)는 장단(長短)을 재는 자[尺]로, 사물을 헤아려 판단하는 기준을 말한다. 맹자(孟子) 양혜왕상(梁惠王上)에 “저울질을 해본 뒤에 경중을 알고 자로 잰 뒤에 장단을 아는 법이니, 사물이 모두 그러하거니와 마음은 더욱 심하다.[權然後 知輕重 度然後 知長短 物皆然 心爲甚]”라고 하였다. 즉 사람 마음에 저울보다 더 분명히 사물의 경중과 장단을 재는 권도(權度)가 있으니, 사람이 그 권도를 무시하고 서로 속이는 것이지 사물이 서로 다투어 속이는 것이 아니라는 뜻이다.

권도경도[權道經道]  권도(權道)는 임시방편으로 시의(時宜)에 맞게 조처하는 것을 말한다. 경도(經道)는 상도(常道)라고도 하는데, 정도(正道)를 지켜서 조치하는 것을 말한다. 유가에 나오는 것으로 경도는 시간과 장소의 구분 없이, 그리고 어떠한 상황 아래서도 반드시 적용돼야 하는 보편성이다. 반면 권도는 특수한 상황일 때 ‘경(經)’에 얽매이지 않는 임기응변을 발휘함을 뜻한다. 즉, 시공이나 사정에 따라 적절히 적용되는 특수성이다.

권독종일[券讀終日]  종일 책을 읽음. 곧, 책을 많이 읽는다는 뜻이다.

권돈행 불거족 제여류[圈豚行 不擧足 齊如流]  발걸음을 옮길 때 발을 땅에 붙이고 들지 않으면 옷자락이 마치 물이 흐르는 것 같다. <禮記 玉藻> 예기(禮記) 옥조(玉藻)의 소(疏)에 “권돈행(圈豚行)은 서추(徐趨)하는 모양을 해석한 것이다. 권(圈)은 전(轉: 발걸음을 옮김)이고 돈(豚)은 순(循)이니, 서추법(徐趨法)은 발뒤꿈치를 땅에 붙이고 끌면서 간다는 말이다. 불거족(不擧足)은 발을 땅에서 떼지 않는 것이고, 제여류(齊如流)의 제(齊)는 치맛자락이다. 몸을 굽히고서 발을 들지 않으면 치맛자락이 땅에 끌리니, 발꿈치를 끌면서 가는 모양이 마치 물이 흐르는 것과 같다는 말이다.”라고 하였다.

권량[權量]  권(權)은 무게를 측정하는 기구인 저울을, 량(量)은 부피를 측정하는 두(斗)・곡(斛) 등을 말한다.

권련[眷戀]  미련을 두다. 그리워하다. 사모하다. 사랑하다. 맘속으로 생각하다.

권록[圈錄]  예문관 검열(藝文館檢閱)의 적임자를 선발할 때에 새로 선출될 사람의 성명 위에 둥근 점을 찍은 책자를 가리킨다.

권록[圈錄]  홍문록(弘文錄)을 말한다. 홍문록은 홍문관의 벼슬아치를 뽑을 때 부제학(副提學) 이하 여러 사람들이 각각 뽑힐 사람의 이름 아래에 권점(圈點)을 찍어 그 점수의 많고 적음에 의해 뽑은 다음, 그 사람들의 이름을 기록하여 놓은 책을 말한다. 홍문관에 결원이 생겼을 때에는 이조에서 이 책에 기록된 자들 가운데 세 사람을 추천하면, 임금이 낙점을 하여 뽑는다.

Leave a Reply

Copyright (c) 2015 by 하늘구경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