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lose

부끄러움을 알고 뉘우칠 줄 알라 <채근담>


사표라는 짐승은 얼굴을 가리니

마치 부끄러움을 아는 것 같고,

당서라는 짐승은 창자를 바꾸니

마치 후회할 줄 아는 것 같다.

부끄러움과 뉘우침을 아는 것은

사람에게 있어

악을 제거하고 선으로 가는 문이며

죽다 살아나는 길이다.

사람이 살아감에 있어 이런 생각이 없다면

이는 곧 불 꺼진 식은 재이며

말라버린 고목이니

어디서 작으나마

살아갈 방도를 찾을 수 있겠는가.


謝豹覆面,  猶知自愧.  唐鼠易腸,  猶知自悔.
사표복면,  유지자괴.  당서역장,  유지자회.
蓋愧悔二字,  乃吾人去惡遷善之門,
개괴회이자,  내오인거악천선지문,
起死回生之路也.
기사회생지로야.
人生若無此念頭,  便是既死之寒灰,
인생약무차념두,  편시기사지한회,
已枯之槁木矣.  何處討些生理?
이고지고목의.  하처토사생리?

<菜根譚채근담>


  • 生理생리 : 살아갈 방도.
  • 謝豹사표 : 전설에 괵주(虢州) 굴속에 사는 짐승으로 사람을 보면 앞다리를 내밀어 자신의 얼굴을 가려 마치 부끄럽다는 듯한 모습을 취한다고 한다. [※ 謝豹:蟲名. 唐·段成式<酉陽雜俎·蟲篇>:“虢州有蟲名謝豹, 常在深土中, 司馬裴、沈子常治坑獲之. 小類蝦蟆而圓如毬, 見人, 以前兩腳交覆首, 如羞狀. 能穴地如鼢鼠, 頃刻深數尺. 或出地聽謝豹鳥聲, 則腦裂而死, 俗因名之.”]
  • 唐鼠당서 : 전설에 고대 당방(唐房)이 승선(昇仙)할 때 닭과 개 등을 모두 데리고 갔는데 오직 쥐만이 남아 사람에게 악한 짓을 많이 하였다. 이에 그 당방에 살던 집 쥐들은 한 달에 세 번 자신의 창자를 꺼내 놓아 따라가지 못하였음을 후회하는 심정을 드러냈다고 한다. [※ 唐鼠:傳說中的鼠名. <藝文類聚> 卷九五引 <梁州記> :“聟水北聟鄉山……山有易腸鼠, 一月三吐易其腸. 束廣微所謂唐鼠者也.”]

Leave a Reply

Copyright (c) 2015 by 하늘구경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