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lose

기환자제[綺紈子弟]~기환청아[驥換靑娥]~기황술[岐黃術]


기환[忌患]  유행병.

기환[綺紈]  아름다운 의복. 비단으로 지은 옷. 부잣집이나 그런 집의 아이들. 귀공자(貴公子).

기환[綺紈]  품질 좋은 비단으로 만든 옷으로, 부귀한 집안의 자손을 가리킨다. 당나라 유우석(劉禹錫)의 시 송이우로수재부거(送李友路秀才赴擧)에 “부귀한 집안에서 나고 자랐으나, 필연 사이에서 고생하고 애썼다오.[生長綺紈內, 辛勤筆硯間.]”라고 하였다. <全唐詩 卷357 送李友路秀才赴擧>

기환자제[綺紈子弟]  지위가 높고 부귀한 집안의 자제. 재산이 많고 지위가 높은 집안의 자제. 기환공자(綺紈公子). 환과자제(紈袴子弟).

기환청아[驥換靑娥]  당 문종(唐文宗) 때 재상 배도(裴度)가 백거이(白居易)에게 준 시에 “그대는 준마를 구할 마음이 있는 것 같은데, 나는 도리어 이름난 미인에 뜻을 두노라.[君若有心求逸足 我還留意在名姝]”라고 하였는데, 이름난 미인이란 바로 백거이의 애첩을 가리킨 것이다. 그러자 백거이가 여기에 수답한 수배영공증마상희(酬裴令公贈馬相戱) 시에 “사안의 풍류를 참으로 어찌할 수 없어라, 준마를 가지고 미인과 바꾸려 하네그려. 동산으로 미인 보내는 건 사양치 않겠지만, 늙은 나는 누구와 더불어 창가를 한단 말인가.[安石風流無奈何 欲將赤驥換靑娥 不辭便送東山去 臨老何人與唱歌]”라고 하였다. <白樂天詩後集 卷15>

기황[綺黃]  기리계(綺里季)와 하황공(夏黃公). 진(秦)나라 말기에 어지러운 세상을 피하여 상산(商山)에 숨어 살았던 상산사호(商山四皓)에 속하는 인물이다. 상산사호의 나머지 두 사람은 동원공(東園公)과 녹리선생(甪里先生)이다.

기황[岐黃]  의술(醫術)의 시조로 추앙되는 기백(岐伯)과 황제(黃帝)를 이른다.

기황도[歧黃道]  기백(歧伯)과 황제(黃帝)의 도(道). 황제와 기백이 문답한 것이 의경(醫經)이 되었는바, 의술(醫術)의 시조로 추앙된다.

기황술[岐黃術]  기황은 의가(醫家)의 시조(始祖)로 일컬어진 기백(岐伯)과 황제(黃帝)를 합칭한 말로, 전하여 기황술이란 의술(醫術)을 가리킨다.

기황후[奇皇后]  원나라 순제(順帝)의 황후. 고려 출신으로 원나라에 공녀(貢女)로 건너가 황후가 되어 북원(北元)의 소종(昭宗)을 낳았다. 완자홀도(完者忽都, 올제이 후투그). 보현숙성황후(普顯淑聖皇后).

Leave a Reply

Copyright (c) 2015 by 하늘구경 All rights reserved